안녕 주정뱅이
권여선 지음 / 창비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 주정뱅이]라는 제목처럼 7편의 단편에서 술을 마시는 장면이 빠짐없이 등장합니다. 표지도 마음에 들고요. 무엇보다 읽으면서 느낀 것이 사랑을 했던 인물들이 헤어지게되는 데 소설이지만 마음이 아팠어요. 아내가 전재산을 들고 도망가버려 신용불량자가 되고 류머티즘이나 치료를 제때 받지 않아 요양하고 있는 수환과 역시 남편과 시부모가 아이를 데리고 이민을 가고 신용불량자가 되고 교사였으나 술에 의존하여 그만두게 된 영경(봄밤)의 사랑이 가슴이 아팠어요. 결국 영경이 요양원을 비운 사이에 수환은 삶을 마감하고 영경은 그러한 수환이 떠나자 힘겹게 버티고 있던 자신을 놔버리게 되는 데 정말 슬펐어요. 그리고 사진을 찍고 싶다라고 말하지 않았으면 물론 헤어졌지만 허무하게 관주(카메라)가 죽지 않았을까 생각하는 문정이도 정신이 온전치 않고 밖을 떠도는 누나 인희를 없는 사람으로 생각하던 인태가 만남을 갖던 예연(층)에게 차마 밝히지 못하고 예연이 인태가 전화통화에서 미친년이라는 욕설을 듣고 인태에게 연락을 끊고 엇갈린 인연이 된 것도 평생을 거머리같은 가족들에게 빨아먹히던 이모(이모)가 췌장암 판정 받고 홀로 세상을 떠나버린 것도 예술임 숙소에서 시력을 잃어가는 위현이라는 번역가겸 소설가를 만나 술을 마셨으나 사실 위현 인물자체가 허구의 인물(역광)이라는 것도 마음이 아팠습니다. 또 각 세사람이 여행(삼인행)을 가거나 오랜만에 만난 친구(실내화 한 켤레)의 집에서 술을 마시는 데 여행을 하던 중에 샤워도 하지 않으면서 화장실에 오래 있었다는 이유로 말다툼(삼인행)을 하거나 TV에 나온 유독 수학을 잘했던 친구를 오해하고 친구의 집에서 아는 언니의 남자친구와 몸을 섞었는 데 알고보니 지독한 성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비밀스럽게 발설하고 다시는 만나지 않게 된 사연(실내화 한 켤레)도 인상적이었습니다. 창비블로그에서 [레가토]를 연재하실 때부터 작가님이 애주가라는 것을 알고 있었는 데 소설집의 제목이 [안녕 주정뱅이]이고 작가의 말을 읽으면서 술을 지금은 거의 안마시는 데 언제 한 번 작가님과 술을 마셔보고 싶어요. 그만 일어나자고 작가님이 말씀하실 때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