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유령작가입니다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5년 창비에서 출간된 3번째 소설집이자 대산문학상을 수상한 [나는 유령작가입니다]를 도서관에서 빌려보았으나 읽지는 않고 반납했던 기억이 납니다. 읽어보려고 펼쳐보았지만 손이 가질 않아 읽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2005년 출간당시 책의 디자인을 했던 윤종윤씨가 2016년 문학동네에서 새로 출간하며 디자인을 하게 되는 군요.) 그래서 2016년에 읽으면서 바로 앞에 읽었던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보단 읽는 속도가 조금 느려지고 조금 낯선 느낌이 들었습니다. 광범위한 시공간적 배경들이나 여러국적의 인물들 그리고 제2외국어들이 소설 속에 등장하면서 여태 읽었던 김연수작가님의 소설들 중 가장 심오하고 다른 느낌으로 오는 것 같습니다.
(그건 새였을까, 네즈미)의 일본어로 쥐라는 뜻의 일본인 네즈미가 영국에 머무르면서 세영과 세희자매와의 불완전한 관계도 은자의 나라인 조선에 조지 워싱턴 브룩스의 약혼녀 엘리자베스 닷지를 찾아 일본을 거쳐 배를 타고 제물포로 가는 탐정 벤저민 스티븐슨(거짓된 마음의 역사), 낭가파르바트 정상에 오르기 위해 자신을 언급하지 않고 자살한 애인이 마지막으로 읽었다는 「왕오천축국전」을 옮기며 소설을 섰던 남자(다시 한 달을 가서 설산을 넘으면)도
언어장애가 있는 동생 성수를 데리고 하얼빈에 가서 성수와 결혼할 여자를 만난 형 성재와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총으로 사살한 안중근의사와 우덕순(이등박문을, 쏘지 못하다) 등 다양한 국적을 가진 인물들이 광범위한 시대와 공간을 바탕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이야기를 그려가는 작가님이 부럽다는 생각이 듭니다. 마지막 [밤은 노래한다]도 기대가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