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뮈로부터 온 편지
이정서 지음 / 새움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읽기전에 100자평이나 리뷰를 봤는 데 혹평이 조금씩 있어서 놀랐어요. 그래서 잘못 선택했나 싶었는 데 읽어보니 흥미로웠어요. 저는 사실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 혹은 이인]을 읽어본 적이 없어서 번역이 맞다 아니다라고 판단할 수가 없어요. 그리고 김수영님이 번역하신 이방인 또한 읽어본 적이 없는 상황에서 이미 세상을 떠나신 이방인의 원작가인 알베르 카뮈로 추정되는 자가 쓴 편지가 수비니겨출판사의 사장에게 도착하고 처음엔 시큰둥하게 생각했으나 김수영번역의 이방인을 읽어보고 나서 자연스럽지 못한 문장이 많아 이방인을 올바르게 번역하려 했으나 알베르 카뮈의 작품을 번역하여 인정받게 된 김수영번역가에 대범하개 도전할 사람이 없어 수비니겨출판사 사장이 직접 번역하고 프랑스어를 전공한 강고해팀장이 블로그에 [우리가 읽은 이방인은 카뮈의 이방인이 아니다]라는 제목을 달고 연재형식으로 글을 올리게 됩니다.
프랑스어원문과 김수영의 번역본 그리고 미국의 번역가 Matthew Ward의 번역본을 첨부하여 번역의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 마지막에 수비니겨출판사의 사장인 필명 이정서가 새로 번역한 부분을 올리는 형식인데 격려받은 것도 있지만 대부분 그를 비난하는 글이 많은 데 잊을만하면 카뮈로 추정되는 자로부터 편지가 오고...
번역하면서 프랑스어를 전공으로 삼은 게 아닌 출판사의 사장이 프랑스어를 몇년간 공부하고 번역하는 직업을 갖은 번역가의 글의 오점을 잡고 정확한 표현을 찾기위해 열심히 이방인의 매달리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을 카뮈로 추정되는 자에게 메일로 보내봐도 직접적인 언급을 안 해줘서 답답하고 게다가 번역이 힘들어 새로 뽑은 어휴정이 김수영번역의 이방인이 더 좋다고 하는 바람에 어휴정을 해고시키고 블로그에 연재했던 글이 신문기사에 본질은 흐려지고 그저 자극적인 내용으로 싣는 등 정말 힘든 상황입니다.
사실 제가 수능에 제2외국어로 프랑스어를 선택했으나 다 까먹었고 영어도 중학교때부터는 멀리하게 되어서 프랑스어원문과 영어번역본을 보기만 했어요. 그리고 원문을 번역한 김수영번역본과 그 번역본에서 오점을 찾아 다시 재번역한 이정서번역본 중 가장 나은 게 있다면 저는 개인적으로 후자라고 봅니다. 물론 제가 이방인을 읽어보지 않았고 프랑스어를 수박 겉 핥기 식으로 배웠지만 전자는 단어표현이 거칠었어요.
매장, 난잡한 관계등 조금 과격한 표현이 많은 반면 이정서번역본은 부드럽고 자연스러웠어요. 과격한 표현을 써 인물들의 성격과 본래의 성격이 달라보이고 작가의 의도가 흐려지게 되었다고 오점을 설명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어요. 그리고 `장편소설`인 것을 감안하면 이러한 시도도 좋은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