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당신을 볼 때 당신은 누굴 보나요 - 수필가 배혜경이 영화와 함께한 금쪽같은 시간
배혜경 지음 / 지식과감성#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5년 11월 20일 배혜경수필가님의 첫 책인 「앵두를 찾아라」가 출간되었고 2년마다 배혜경작가님의 책을 어느정도 시간 차가 있었지만 접하였는 데 스마트에세이 & 포토포에지인「화영시경」이 재작년 11월 20일에 출간되었으니 그로부터 2년이 지난 올해에 혹시 책을 내시지 않을까 싶었거든요. 바로 얼마전에 2017년 「고마워 영화」이후 두번째 영화에세이인 「내가 당신을 볼 때 당신은 누굴 보나요 : 수필가 배혜경이 영화와 함께한 금쪽같은 시간」가 출간이 되어서 이번에는 늦지 않게 일찍이 주문을 하여 읽어보았습니다.
저는 중학생때부터 영화를 보고는 싶었지만 극장에서 볼 정도로 주머니 사정이 여의치 않아 극장에서 영화를 보지 않고 극장에 비치되어 있는 영화전단지를 2012년까지 모은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동네에 있는 비디오대여점에 가서 1500원주고 1박 2일동안 빌려다보거나 공공도서관에 비치되어 있는 DVD를 디지털자료실에서 보고는 했거든요. 물론 성인이 되고 나서도 그다지 주머니사정이 나아지지는 않았지만 아르바이트하기 전이나 하고 난 후에 시간을 내어 돈이 생기는 즉시 영화관에서 관람하고는 했답니다. 주로 롯데시네마에서 보게 되었는 데 대부분 상업영화들이어서 독립예술영화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그보다 훨씬 이후에 지금은 없어진 국도예술관이나 아트씨어터 씨엔씨에 한 번씩 가게 되었을 때였고 그렇게 제 집처럼 드나들지는 않았는 데 폐관이 될 줄 알았다면 자주 가서 보는 건데 하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수필가님과 제가 살고 있는 부산에는 영화의전당과 또 최근에는 모퉁이극장이라는 곳이 새로 생겨 상영시간표를 챙겨보지만 직접 가보지는 않았어요.
특히 2012년부터는 우연히 핫트랙스에서 DVD에 꽂혀서 조금씩 야금야금 한국영화DVD를 사모으곤 했었는 데 아르바이트로 받은 월급의 대부분을 DVD 사는 데에 쓰고 모은 DVD들을 보물단지처럼 쌓아놓다가 급전이 필요하면 알라딘중고서점에 팔았다가 새로 DVD를 사모으고 2017년에는 극장에서 살다시피 했고 극장에서 보았던 영화(그 중에는 이상일감독님의「분노」도 있었네요.)가 DVD로 나오면 국내,해외영화 가리지 않고 사모으게 되었는 데 버는 것에 비해 쓰는 것이 많다보니 감당할 수 없는 처지에 이르는 것은 시간문제였죠.
결국에는 다 처분하고 지금도 여전히 알라딘에서 예약판매 중인 DVD를 검색을 하기는 하지만 구매까지 이어지지 않으려고 합니다.
사실「고마워 영화」 때도 느낀 것이지만 저도 나름대로 영화를 많이 봤다고 자부해왔는 데 여기에 등장하는 영화목록들을 보며 독립영화나 상업영화를 떠나 저는 아직 갈길이 멀었구나 싶더군요.
그래도 「고마워 영화」를 접하였기 때문인지 영화에 담긴 메시지나 영화 속의 등장하는 인물, 시대적인 배경들을 영화를 직접 보지 않았는 데도 머릿 속에 펼쳐졌고 수필가님이 지나온 삶의 내력들이 영화와 함께버무려져 있어 사진만 보고 직접 얼굴을 보지는 않았지만 수필가님에 대해 조금 더 알아갈 수 있었던 제게는 의미있는 시간들이었어요. 다음에 혹여나 이 책에 소개되었던 영화들을 보게 된다면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고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 확신이 들었어요. 너무 뻔한 이야기지만 인생또한 한 편의 영화이고 그 영화 속에 주인공은 저라는 것이 새삼스럽게 느껴지는......
자주 가는 작은도서관에 갔다가 「고마워 영화」와 「화영시경」이 비치되어 있어 한 장 찍어놓은 것을 남기며 이 글을 마칠려고 하는 데 「고마워 영화」가 알라딘에 검색해보니 품절이더군요.
그런데 품절되었다고 중고 책가격이 정가의 두 배에 심지어는 9만원 가까이나 해서 자본주의라지만 혹여나 구매하고 싶어도 너무 무시무시해서 망설여질 것 같습니다.
아무튼 배혜경수필가님, 매번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리고 매번 제자리인 제 글솜씨가 야속하게만 느껴지네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1-12-06 08:5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