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V 빌런 고태경 - 2020 한경신춘문예 당선작
정대건 지음 / 은행나무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앞서 읽은 정지돈작가님의 「농담을 싫어하는 사람들」에서 영화를 전공하신 작가님답게 저는 보지는 않았거나 못했지만 제목은 들어보기만 하던 영화들이 나왔는 데 이번 2020년 한경신춘문예 장편소설 부분 수상작인 정대건작가님의 「GV빌런 고태경」에서는 실제로 작가님이 영화를 연출하셨던 경험도 있으셨고 소설 상에서도 영화 「원찬스」를 연출했으나 보기좋게 망한 영화감독 조혜나가 우연한 기회에 자신의 단편영화를 상영하고 관객들과의 대화(Guest Visit)을 갖는 시간이 마련하여 상영 후 관객들과의 대화를 갖던 도중 베레모를 쓰신 지긋이 나이가 든 중년관객의 날카로우면서도 무례한 질문을 받고 당황해버리면서도 그 관객과 싸우고 난 후 GV마다 당황하게 만드는 질문을 하는 빌런인 것이 분명한 고태경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기획하고 고태경에게 제안을 하며 이야기가 진행이 됩니다.
사실 저는 GV를 딱 2번 가봤는 데 하나는 지금은 없어져버린 국도예술관에서 했던 「두개의 선」이라는 영화와 서면 CGV에서 했던 「용순」이라는 영화의 GV인데 제가 워낙 소심해서 거기서 질문을 하지는 못했고 「용순」때에는 GV도중에 다른 영화도 같이 예매했는 데 그 상영시간이 겹쳐서 나가버린 기억이 납니다.
정말 장편은 물론이고 짧은 단편 영화 하나 만드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많은 돈이 들어간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읽으면서 많은 노력또한 필요하며 매우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된 것 같아요. 그렇게 만들었던 작품에 대한 결과가 좋으면 보상을 받는 기분이지만 결과가 좋지 않으면 그 것으로 끝이며 그 다음을 기약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 안타깝게 느껴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를 사랑하여 영화관련 학과에 진학하고 영화학교에 다니고 영화를 만들기 위해 오늘도 시나리오를 쓰고 있을 많은 분들이 있고 언젠가는 유명한 감독들처럼 되기만을 꿈꾸는 많은 감독님들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택시 운전하며 자신 만의 작품이 극장에 상영되기를 기대하며 시나리오를 여러번 수정하는 조감독 출신의 고태경(사실 저도 어렸을 때에는 막연하게 영화를 좋아해서 지금 생각하면 어처구니 없을 영화 시나리오를 끄적거리기는 했었던 흑역사가 생각나네요.)처럼 누구나 자신만의 영화를 지금도 만들고 있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합니다.
정대건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