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는 홍시뿐이야 - 제12회 창비장편소설상 수상작
김설원 지음 / 창비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과 4년 전에 썼던 김설원작가님의 두번째 장편소설인 「나의 요리사 마은숙」리뷰를 읽어보았는 데 줄거리가 리뷰전체를 차지하더군요.
정말 속상하고 창피했습니다. 그리고 3년 뒤에 제12회 창비장편소설상 수상의 영예를 안겨주고 바로 1년 후에 출간된 세번째 장편소설 「내게는 홍시뿐이야」를 읽고 나서 리뷰를 쓰려고 하는 데 4년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예감이 들지만 그래도 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아주 어렸을 때 소설의 주인공인 아란이처럼 남의 집에서 살아야 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물론 여기서 다른 점은 더부살이를 보낸 이가 소설 속에서는 엄마였지만 저는 아버지가 저를 어쩔 수 없이 보낼 수 밖에 없었다는 점이 아닐까합니다. 저는 공중목욕탕에서 때를 밀어주던 할머니의 집과 어린이집 원장선생님의 집, 그리고 친척 큰아버지의 집을 거쳐 초등학생이 되면서 다시 아버지에게로 돌아왔지만 아란이는 또와아저씨의 집에서 또와아저씨와 아주머니가 파산선고를 자식들과 아란이에게 내리면서 어쩔 수 없이 홀로 살아야 하는 처지에 내몰리자 생활정보지를 열심히 읽어 살아갈 집과 그 집에서 살기 위해 벌어야 할 돈을 마련하기 위해 치킨홍이 사장인 치킨집 아르바이트를 하게 되고 그 곳에서 베트남어를 잘할 수 밖에 없는 첸과 몸만 자라버린 양보, 그리고 아버지를 허망하게 보내버린 주인집 여자와 두 딸들의 이야기를 읽으며 저도 아란이와 같은 마음이 들었어요.
저는 생각해보니 아란이처럼 ‘홍시‘를 보면 엄마와 엄마의 추억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반면 딱히 아버지와의 추억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할 만한 대상이 없었던 것 같아요.
아무튼 읽으면서 많은 생각이 들게 했던 작품이었습니다.
그런데 앞서 출간된 강영숙작가님의「부림지구 벙커X」나 신해욱작가님의 「해몽전파사」에서는 ‘카페‘라고 표기되어있었는 데 이 소설에서는 ‘까페‘, ‘까페라떼‘라고 표기되어있네요. 사실 생각해보면 제가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지만 조금 혼동이 오네요.
김설원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