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 좀 끊지 말아줄래?
최정나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5월
평점 :
2019년 6월에 최정나작가님의 첫 소설집 「말 좀 끊지 말아줄래?」의 표제작인 (말 좀 끊지 말아줄래?)를 읽었을 때에는 이 소설이 말하고 싶은 것이 과연 어떤 것일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무언가 말하고 싶은 것이 있을 텐데......
잘 모르겠더군요.
그래서 표제작만 읽고 포기했습니다.
그리고 8월에 작은도서관에서 한번 빌려서 읽었는 데도 잘 모르게더군요. 끊임없이 이야기하는 소설인 데 표제작만 읽고는 나머지 단편은 손이 가지 않더군요.
(2016년 7월에 첫 출간된 최은영작가님의 첫 소설집이었던 「쇼코의 미소」를 읽었을 때의 느낌을 이 소설에서도 받게 되었는 데 공교롭게도 두 작품집을 책임편집했던 분이 김내리님이었어요.)
사실 포기할까 생각했었는 데 오기가 생기더군요.
그래서 출간한지 약 반년이 지나서 다시 빌려읽었습니다.
이번에는 의미를 두지 않고 빠르게 읽었습니다.
이 소설집에 실린 단편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는 데
불특정다수가 이용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공공장소 이를테면 장례식장(말 좀 끊지 말아줄래?), 골프장(잘 지내고 있을 거야), 온천에 있는 목욕탕(사적 하루), 식당(한밤의 손님들), (케이브 인), 작업실이 딸린 가구전시장(해피 해피 나무 작업실), 도로나 여럿이 모여사는 아파트와 콘돔등 여러가지를 파는 편의점이나 약국(메리 크리스마스)등에서 끊임없이 대화를 나누거나 주변의 대화를 본의 아니게 듣게 되는 상황이 벌어진다는 것입니다.
등단작인 (전에도 봐놓고 그래) 역시 손님들을 맞이하기 위해 지하실이 있고 마당이 딸린 저택에서 준비하며 대화를 이어가는 모습을 볼 수가 있습니다.
그게 어떤 대화인지는 빠르게 읽어서 그런지 기억이 잘 나지는 않지만 아주 특별하지는 않았던 것 같아요. 지나가다가 우연히 들을 수 있을 법한 또는 다른 사람에게 흔히 이야기할 수 있는 그런 내용인 것 같습니다.
심지어 작가의 말에서도 여럿이 지나다니는 골목이나 거리가 등장하는 것은 우연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뒷표지에서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은밀하고 나른한 대화와 돌연 우리의 일상을 낯설게 만드는 기묘한 긴장과 불안의 목소리‘라는 문구를 다시 한번 곱씹어봤던 소설집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아무튼 최정나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120/pimg_766112156236204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120/pimg_766112156236204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