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의 기쁨과 슬픔 - 장류진 소설집
장류진 지음 / 창비 / 2019년 10월
평점 :
드디어 저도 읽어봤습니다.
등단작으로만으로도 40만건이나 되는 누적 조회수를 기록하신 장류진작가님의 첫 소설집 「일의 기쁨과 슬픔」을.
처음에 실린 (잘 살겠습니다)부터 뭐랄까, 반드시 이작가님의 이름을 기억해야겠다는 아니, 기억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예감이 들었습니다.
더도말고 덜도말고 딱 받은 만큼만 정확하게 돌려주는 나쁘게 말하면 계산적이지만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살아가는 인물들처럼 저 역시도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맞다고 느껴졌습니다.
또한 사장님의 눈 밖에 나서 마땅히 받아야 할 월급을 회사의 포인트로 받게 되는 불가피하고 억울한 상황에서도 그 포인트로 새제품을 직원할인가로 구매하여 저렴하게 다른 불특정인물들에게 팔아서 충당하며 적응하는 모습을 그린 (일의 기쁨과 슬픔)을 읽으면서 너무 흥미롭게 읽었고 (나의 후쿠오카 가이드)에서 이제 외국의 지명을 표준어에 맞게 편집한 창비출판사에 약간은 서운함을 느끼면서도 지유에게 거절당한 지훈의 분노가 저에게까지 영향이 끼쳐서 좀 당황했어요. (다소 낮음)에서 현실을 자각하지 못하고 자신의 신념에 맞게 살아가던 가난한 예술가의 적절한 타이밍을 놓친 선택이 마음이 아팠고 (도움의 손길)에서의 가사도우미 아주머니의 행동들에 치가 떨리고 무서웠어요.
짧지만 강한 인상을 남긴 (백한번째 이력서와 첫번째 출근길)과 마지막에 시력을 잃어가는 전직 사진작가였던 핀란드노인이 설마 돌아가셨으면 어떡하지라며 제가 조마조마했던 (템페레 공항)을 읽으면서는 저의 스펙을 물론이고 제가 이력서를 몇번 쓰고 와 면접을 몇번 보았는 지 잘 생각이 나지 않았습니다. (참고로 남들보다는 훨씬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고 훨씬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적게 썼을 겁니다. 물론 면접또한 마찬가지이고요.)
앞서 테마소설집으로 만나봤던 (새벽의 방문자들)에서 마지막으로 또 다시 이사를 가면서 불쑥 새벽에 방문했던 인물들의 모습을 찍어 인화하여 붙힌 사진을 두고 가는 것이 인상깊었습니다. 물론 오피스텔 주인이 붙여놓은 사진들을 다 때어놓을 것이고 그 다음에 새로 이사 올 사람은 그 것을 보지 못하겠지만.
장류진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117/pimg_766112156235945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117/pimg_766112156235945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117/pimg_766112156235945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