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번의 일
김혜진 지음 / 한겨레출판 / 2019년 10월
평점 :
2017년 「딸에 대하여」 이후 2년만에 새 장편소설 「9번의 일」을 출간하신 김혜진작가님의 신작을 어제 알라딘에서 택배로 받자마자 오늘 새벽부터 읽기 시작했습니다.
수리와 설치, 보수 업무를 담당하는 통신회사 현장팀에서 26년간 일하던 준오의 아버지이자 혜선의 남편인 그.
판매실적이 저조하여 3번 연속 교육대상자가 되고 교육을 받고 난 뒤 그의 거처가 결정되는 데 그 마저도 최하점을 받았으며 자신보다 사정이 좋지도 않은 후배들의 비난과 질타에도 일을 그만두는 것을 포기하지 않고 점점 자신이 살고 있던 집에서 먼거리에 있는 작은 소도시로 인적이 드물어 실적 올리기도 힘든 외곽지역으로 밀려나고 그 것도 모자라 회사의 정직원이 아닌 하청직원으로 일을 받아야 했음에도 포기하지 않고 묵묵하게 그 일을 받아들이며 하루하루를 버텨가고 있습니다.
사실 그에게는 곧 대학을 가게 될 준오의 등록금과 어머니의 치료비, 고향에 있는 집 수리비, 그리고 이번에 장가를 가게 된 조카 상호까지 떠맡게 될 처지이기에 그만두기 어렵기도 하지만 ‘일이라는 게. 한번 손에 익고 나면 바꾸기가 쉽지가 않아.‘(180쪽)라고 이야기하시는 장인어른의 말처럼 26년이라는 평생의 거의 절반을 한 회사에 몸을 바치면서 일하던 그에게 자신 보다 젋은 사람들은 그만두어도 다른 일을 할 수가 있지만 한 곳에 정착하다시피한 그에게 다른 일이란 새로운 도전에 가깝기 때문에 한때는 전화교환원으로 표창까지 받았으나 지금은 전화선 연결, 보수라는 예전과는 다른 일을 할 수 밖에 없던 황 여사가 결국에는 그만 두게 되는 모습이 인상깊었습니다.
처음에 이 소설의 제목인 「9번의 일」을 ‘아홉‘으로 인식하여서 읽었을 때 약간의 의아함이 들었는 데 181쪽 ‘78구역 1조 9번‘으로 간략한 소속과 이름을 부여받게 된 그의 일이 바로 ‘구번의 일‘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먼저 왔던 7번과 3번이 각자의 예기치 못한 사정으로 떠났지만 그는 떠나지 못하였고 마을에 통신탑이 하나 둘씩 세워지고 그 것을 반대하는 주민들과 매번 실랑이와 몸싸움을 벌이면서도 기약없는 회사로의 복귀에도 묵묵하게 견디던 그의 모습이 이해가 가는 것은 한 편의점에 약 4개월정도 공백이 있었지만 횟수로 7년째 일하고 있는 제 모습이 겹쳐보였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만약 그라면 그런 저를 보고 나이가 어리니 충분히 다른 일을 할 수가 있다고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지만 나이가 많고 적음을 떠나 앞서 언급했던 장인어른의 말처럼 일이라는 게 손에 익히게 된 이상 다른 새로운 일을 하기에는 어려워지는 것을 저는 느끼고 있습니다.
듣기에는 조만간 재계약을 앞두고 있어 본사와 협의 중이라는 사장님의 이야기를 듣고 약 7년간 일하였던 곳을 그만 두게 될지도 모르지만 이 소설을 한동안 떠올리게 될 것이라는 예감과 책을 읽는 것을 결코 멈추지 않을 것이라는 다짐도 들게 됩니다.
김혜진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012/pimg_766112156232470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012/pimg_766112156232470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012/pimg_766112156232470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012/pimg_766112156232471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