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뭐래도 하마
김선재 지음 / 민음사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첫 소설집「그녀가 보인다」이후로 약 8년만에 두번째 소설집인 「누가 뭐래도 하마」를 내신 김선재작가님의 작품을 읽어 보았습니다.
표제작인 (누가 뭐래도 하마), (한낮의 디지), (일일시고일), (아무도 모른다)에서는 제대로 된 가족의 보살핌이 부족하여 보호시설에 맡겨진 양을 유조가 데려야 감금하다시피하고(누가 뭐래도 하마) 딸만 다섯이어서 아이를 돌보기 위해 막내딸이 오게 되면서 인연이 시작(한낮의 디지)되거나 매번 엄마가 아들을 내버려두고 돌아서고(일일시고일) 남들보다 발달이 느린 아이를 홀로 방치(아무도 모른다)하는 사연들이 가슴이 아팠고 홀로 남겨진 (죽지 않는 사람들)의 노인이나, 곧 사라질 (남은 사람)에서 가판대를 운영하는 노인, 남편이 언제 돌아올지 기약하기 어려울 정도로 뻐꾸기시계소리를 들으며 멍하게 있는 (아는 사람)의 아내와 15년만에 1달간 유급휴가를 받았으나 아내없이 홀로 떠나 남겨져버린 (3번 국도)의 남자까지......
하나 같이 홀로 남겨져서 쓸쓸하게 죽음을 맞이하거나 맞이할 예정, 혹은 위기에 처해있는 인물들의 모습이 남일 같지가 않았습니다.
뒷표지의 ˝까맣게 잊었던 과거가 낙석처럼 눈앞에 굴러떨어지는 날이 있다.˝(3번 국도, 243쪽)라는 문구가 인상깊게 다가왔던 「누가 뭐래도 하마」를 오랫동안 곱씹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인상깊은 겉표지와 속표지또한 말이죠.
김선재시인이자 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