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페인트 (반양장) - 제12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ㅣ 창비청소년문학 89
이희영 지음 / 창비 / 2019년 4월
평점 :
창비청소년문학상 1회 김려령작가님의「완득이」, 2회 구병모작가님의「위저드 베이커리」는 들어만 보았지만 읽어보지는 않았고 3회 배미주작가님의 「싱커」는 빌려본 기억은 있는 데 다 읽지는 않았던 것 같아요.
4회 추정경작가님의 「내 이름은 망고」부터 5회 김이윤작가님의 「두려움에게 인사하는 법」6회 정지원작가님의 「비바, 천하최강」(이 책은 창비청소년문학상 목록에 빠져있네요. 「페인트」책 뒷면에도 마일리지로 구매가능한「페인트」포켓홀더에도.)
7회 강윤화작가님의 「어쨌든 밸런타인」, 8회 최영희작가님의 「꽃 달고 살아남기」, 9회 김은진작가님의 「푸른 늑대의 파수꾼」(이 때부터 알라딘에서 책을 읽고 리뷰를 남겼습니다. ‘타인의 시간을 빼앗은 자에겐 미래가 없다‘ 라는 말이 매우 인상깊었습니다.) , 10회 손원평작가님의 「아몬드」(이 책은 언급하지 않아도 많은 분들이 읽어주셨고 사랑해주셨죠. 특히 작년 원북원부산 선정도서로 선정되었습니다.)
그리고 2018년을 건너뛰고 올해 제12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으로 올해 열두 살이 된 아이의 어머니이시기도 한 이희영작가님의 「페인트」가 선정이 되었고 역시 믿고 읽는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이라 읽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
소설 속에서는 부모가 되려고 하는 프리 포스터들을 면접을 통해 자신들 스스로가 부모를 선택하는 이른바 페인트(parent‘s interview)라는 단계를 통해 자신들이 원하는 부모와 함께 살아갈 수 있거나 선택을 받지 못하여 NC라는 꼬리표를 평생동안 달고 살아가야 하는 NC에 들어오게 된 달이 바로 자신들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면서 소설이라는 허구지만서도 저 또한 제 부모로 선택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NC에서 생활하다 내게 걸맞는(나를 많이 사랑해주고 존중하며 친구처럼 지낼 수 있는)부모를 찾기 위해 면접을 보고 3차 면접까지 보고 괜찮으면 1달동안 합숙하며 살아가다 NC밖으로 나가 영원히 행복하게 사는 것은 너무 큰 기대이고 또 현실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면접을 보다가 잘 안될 수도 있고 또 잘 되어 함께 NC밖으로 나갔다 홀로 다시 돌아 올 수도 있고 또한 면접 본 부모와 살면서 여러가지 문제도 있을 수도 있겠지요.
아무튼 내 인생은 내 손으로 그려가고 색칠해야 한다는 것은 확실하게 각인이 되었습니다.
읽으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희영작가님, 감사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428/pimg_7661121562183023.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428/pimg_766112156218302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