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책을 읽었지만 따로 리뷰를 쓰지는 않았는 데 2018년도 다섯손가락으로 셀 수 있을 정도로 밖에 남아 있지 않았고 저의 20대의 마지막도 똑같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몰아서 쓰려고 합니다.
구병모작가님의 세번째 소설집 「단 하나의 문장」을 읽으면서 이미 실현되고 있거나 상용화될 가상현실이나 인공지능로봇에 대해 조금 더 깊게 생각해보게 되었고 듀나작가님의 「민트의 세계」를 읽으면서 민트의 쌉싸름한 맛이 입안에 가득 퍼지는 듯한 기분이 들었고 역시 임성순작가님의 「우로보로스」 또한 선뜻 읽기가 힘들었지만 수많은 미로 벽에 둘러싸인 기분을 느껴 탈출한다는 마음으로 읽었습니다.
박지리작가님의 마지막작품인 「번외」를 읽으며 혜성처럼 나타나셨다가 별이 되신 박지리작가님을 생각해보고 테마소설집「사랑의 입자」와 「불안의 주파수」를 읽으면서 ‘사랑‘과 ‘불안‘이라는 키워드에 대해 이제 청소년은 아니지만 저 역시 고민해보았습니다.
문지혁작가님의 「비블리온」속 책이라는 존재가 금기시되는 세상이 닥쳐온다면 저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하는 막연한 생각이 들었는 데 그 세상이 오기 전에 저는 아마 별이 되어버리지 않을 까하는 생각부터 들었습니다.
예전에 TV에서 13남매와 가족의 일상을 보여주는 것을 보았는 데 이은용작가님의 「맹준열 외 8인」을 읽으면서 그 생각이 떠올랐고 누카가 미오작가님의 「외톨이들」읽으면서 작년에 읽었던 「달리기의 맛」의 느낌또한 되살아났습니다.
기준영작가님의 두 번째 장편소설인 「우리가 통과한 밤」을 여러번 책을 들었다 놓았다하면서 채선과 지연의 관계에 대해 저와 주변사람들의 관계를 되돌아보게 되었습니다.
서지민작가님의 「초록털 고양이 포카」는 사람의 마음을 귀신같이 알아내고 사람의 말을 할 수 있는 초록털 고양이 ‘포카‘가 자신의 가족을 찾기 위해 정든 집을 떠나게 되는 데 특히 마지막 장면이 인상적이고 슬펐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습니다.
세계문학상우수상을 수상하신 조경아작가님의 「3인칭 관찰자 시점」의 혹평 리뷰를 보았던 터라 그리고 앞서 가독성은 좋았지만 너무 가벼웠던「스페이스 보이」, 저와 그다지 코드가 잘 안맞던 「러블로그」를 읽어서 그런지 큰 기대는 안했는 데 읽어보니 흥미로웠고 괴물의 자식으로 태어났지만 괴물처럼 되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인물의 모습이 인상깊었습니다.
최민우작가님의 첫 장편소설 「점선의 영역」을 읽으며 점과 선으로 이루어지는 관계에 대해 생각을 해보았었고 출판사카페에서 연재하기도 했던 한창훈작가님의 「네가 이 별을 떠날 때」의 어린왕자와 똑같이 생긴 아이를 저도 언젠가 꼭 한번 만나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습니다.
우다영작가님의 첫 소설집 「밤의 징조와 연인들」을 저 역시 책에 실린 순서가 아닌 작가님이 쓰셨던 단편들 순으로 읽었으며 2쇄가 순식간에 출간되어 저를 당황하게 했던 정세랑작가님의 첫 소설집 「옥상에서 만나요」는 수신지작가님의 일러스트도 인상적이지만 아무래도 수록된 단편들을 그 자리에서 다 읽을 수 밖에 없게 되는 것이 더 인상적이었습니다.
아직 다 읽지 않은 임재희작가님, 김혜나작가님의 첫 소설집 그리고 ‘박진규‘보다 ‘박생강‘이 더 잘어울리는 작가님의 장편 「에어비앤비의 청소부」를 마지막으로 올해를 마무리 할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