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사원
김개영 지음 / 민음사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도 오른 쪽 눈이 희뿌옇게 보였지만 오늘 완독한 김개영작가님의 「거울 사원」을 읽으면서 그 증상이 조금 더 심해지는 것 같고 그 것을 떠나 무기력해지면서 활자를 읽기가 힘들었다는 핑계같지 않는 핑계를 대고 있습니다.
(이 소설집을 너무 열심히 읽었던 탓인지 책의 은박들이 다 지워지는 불상사가 발생하고 말았습니다.)
(관흉국), (거울 사원), (봄의 왈츠), (틈), (개와 늑대의 시간), (뷔통)은 3월 중순 경에 읽었고 마지막 단편 (라리루레로 파피푸페포)와 해설은 오늘 새벽에 읽어서 그런지 앞에 읽었던 6편의 단편들이 구체적으로 생각나지는 않았지만 해설을 읽으면서 다시 떠올랐습니다.
집안을 모욕하고 더럽렸다는 이유로 명예살인을 당할 위기를 겪고 한국으로 와 정식적인 난민으로 인정 받은 표명희작가님의 청소년소설「어느 날 난민」의 찬드라와 비슷하지만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곳이 아닌 한국의 이태원이라는 낯선 나라에서까지 형제들이 명예살인을 시도하는 광경을 목격하는 주인공(거울 사원)이나 죽은 형을 대신하여 태어났다고 믿는 엄마에게 죽임을 당할 위기에 처하자 엄마를 죽이게 되는 아들(틈), 인라인스케이트를 타다가 차에 치여 죽게 되는 창민이(개와 늑대의 시간)등 소설이라는 거울에 비쳐진 모습들은 고풍적인 표지와는 다르게 끔찍하고 절망만 가득한 모습들만 투영되어 차마 똑바로 마주보기가 힘들었어요.
그래서 인지 마지막 단편이자 역시 머지않아 죽음이라는 비극적인 결말에 도달될 것이 분명한 (라리루레로 파피푸페포) 를 읽기를 두려워하고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소뇌위축증이라는 유전성이 강한 병을 앓고 온종일 누워지내야만 하던 엄마와 아들 역시 구마비가 와 온 몸에 통증을 호소하며 죽음이라는 마지막 종착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모습이 너무 절망스럽게 보여져서 책을 읽은 저에게도 고스란히 전달되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김개영작가님, 감사합니다.
(참고로 굳이 은박을 쓰지 않고 그냥 일반적인 검은 글씨여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