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셀로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193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권오숙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12월
평점 :
2023-18.오셀로-윌리엄 셰익스피어
오셀로: 이제 내가 구원받는 길은 그녀를 미워하는 것뿐이다.
오, 결혼의 저주여, 우린 이 섬세한 여인네들을
우리 것이라 할 수는 있어도,
그들의 성욕은 우리 것이 아니구나!
사랑하는 것을 한 켠에 두고 타인들이 사용하게 할 바에야
차라리 두꺼비가 되어 동굴의 수증기를 먹고 살아가련다.
허나 이는 지체 높은 자들이 걸리는 역병.
이런 운명에는 그들이 천한 자들보다 더 노출되어 있다.
이것은 죽음처럼 피할 수 없는 운명.
이 갈라진 뿔을 이마에 지니는 운명을 우리는
태어난 순간부터 지니게 된다.(p.102)
너무나 글이 쓰기 싫었습니다. 글쓰기를 의무적으로 하게 만들어놓았는데도 불구하고, 이 글을 쓰기 전까지 ‘쓰지 말고 포기해버릴까’라고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안 쓰고 넘어가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어찌어찌 하다보니 여기 앉아서 글을 쓰고 있네요.^^;; 앉아서 글을 쓰려고 하니 <오셀로>에 관해서 써야겠다는 생각이 갑자기 드네요.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내 마음이 쓰라네요. ㅎㅎㅎ
제 마음에 물어봤습니다. <오셀로>는 어떤 작품이냐고? 제 마음이 대답을 하네요. <오셀로>는 질투라는 괴물이 사람을 잡아먹는 과정을 그린 비극이라고. 네, 제가 보기에 <오셀로>는 질투라는 감정이 사람을 사로잡은 과정을 그린 비극이자 질투가 괴물이 되어 사람을 잡아먹는 비극처럼 보였습니다. 그럼 ‘질투라는 괴물은 누구를 잡아먹나요?’라는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질투가 잡아먹은 건 오셀로라고 생각합니다. 오셀로의 마음 속에서 생겨난 질투는 어느 순간 걷잡을 수 없이 커지더니 아내를 죽이는 것도 모자라 오셀로 본인마저 죽음으로 몰아넣습니다. 그 과정을 보고나니 질투가 사람을 잡아먹는다는 말이 저절로 떠오르더군요.
질투가 그냥 생긴 건 아니겠죠. 네, 맞습니다. <오셀로>에서 오셀로의 질투를 키워내는 존재는 이아고라는 악역입니다. 현대 정신의학의 관점에서 보면 사이코패스에 가까운 이아고는 오셀로를 부추겨 질투를 불러 일으켜 아내를 죽이게 만들고, 오셀로 자신마저 죽음으로 몰아넣은, <오셀로>라는 비극의 핵심적 인물입니다. 저는 이아고의 모습을 보면서 ‘악’을 형상화한 존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사람의 느낌이 나지 않고 오직 오셀로의 파멸에만 몰두하는 인물로서, 유혹하는 존재이자 유혹의 끝에 파멸을 가져다 주기 때문에.
저에게 <오셀로>는 순수한 여인인 데스데모나라는 아내와 함께하는 선의 영역에서 이아고의 유혹에 넘어가 질투에 사로잡혀 이아고와 함께하는 악의 영역으로 진입한 오셀로가 파멸하는 이야기처럼 보입니다. 선에서 악으로의 변화, 선과 악의 대립에서 악의 승리를 그려내면서 인간에게 경고하는 비극. 제가 너무 이분법적으로 보고 있는 걸까요? 그러나 이렇게 바라보면 <오셀로>가 더 흥미로워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여기서 제가 하지 않는 말이 있습니다. 사실 저는 오셀로의 자아가 더 튼튼했다면, 아니 자아를 받치는 심리적인 부분에서 조금 더 확실한 자존감이 있었다면 이아고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았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오셀로의 자아에는 그가 이룬 뛰어난 업적과는 어울리지 않는 불안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그건 오셀로가 흑인이라는 점과 연관이 있습니다. 책에서 언뜻언뜻 드러나지만 백인 위주의 사회에서 흑인이라는 건 엄청난 불안감을 불러 일으킬 수밖에 없습니다. 언제라도 추락할 수 있다는, 언제라도 내쳐질 수 있다는, 나는 저들과 다르기 때문에 불완전하다는 심리적인 불안감이 내면에 존재할 수 밖에 없다는 말입니다. 그 불안감이 있었기에 이아고의 유혹이 통했던 것이고, 데스데모나에 대한 믿음이 더 쉽게 무너질 수 있었던 겁니다. 결국 저는 <오셀로>를 오셀로가 질투에 사로잡혀 선에서 악으로 건너가 파멸하는 비극이자 그 흐름의 근저에 인종주의가 맴돌고 있는 비극으로 바라봅니다. 정념의 비극에 인종주의가 더해진 비극. 그것이 제가 바라보는 <오셀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