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언어를 위해서 쓴다 - 융합과 횡단의 글쓰기 정희진의 글쓰기 5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9.새로운 언어를 위해서 쓴다-정희진

 

책을 읽는데, 책의 갈피갈피마다 새겨진 정희진 씨의 사유가 내 몸으로 흘러들어옵니다. 내 몸으로 흘러들어오는 정희진의 사유와 내 몸에 새겨진 나의 사유가 만나서 폭발하며 펑펑 터집니다. 사유와 사유가 만나서 터져 나오는 폭발의 굉음, 폭발의 흔적, 갈등과 충돌의 흔적들이 책을 읽는 내내 제 몸을 감싸고 돌며 정신을 못차리게 만듭니다. 저는 그 흔적들을 갈무리하며 생각을 정리하느라 엄청난 정신의 에너지를 쏟아냅니다. 책의 파트파트마다 너무 많은 생각들을 한 것 같습니다. 홀로 하는 내적인 대화의 장이라고 할까요? 정희진의 사유와 저의 사유가 만나서 행해진 무수한 사유의 흔적들을 서평으로 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면 서평이 한 40개는 넘을 것 같습니다.^^;; 파트파트마다 다 서평을 쓸 수 있을 것 같아서요. 어떨 때는 동의하면서, 어떨 때는 비판하고 반박하면서 새겨진 사유의 충돌들을 다 서평으로 쓰지는 못해서, 이렇게 크게 짧은 글 하나 남긴다는 비겁한 변명을 해봅니다. 이런 책 읽기는 너무 좋네요. 할 말이 너무 많고, 생각도 너무 많이 해서 에너지 소모도 크지만, 그만큼 좋은 경험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게 책에서 말하는 융합이 아닐까요? 정희진 씨의 사유를 받아들이면서 내 몸의 사유도 변화해가는 과정이 읽기를 통해서 이루어지니까요. , 아니라면 할 수 없죠. 어디까지나 저만의 융합개념이기 때문에 다를 수도 있는데, 저는 이런 식의 변화과정이 융합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 나름의 융합 과정을 거쳤으니 이제 책도 덮고 글도 마쳐야 하는데, 제가 했던 무수한 생각들을 하나도 남기지 않고 가버리는 건 너무 아쉬워서 하나 정도는 남겨보겠습니다.

 

종이 신문 읽기에 대해서

 

<새로운 언어를 위해서 쓴다>를 읽다가 정희진 씨가 종이 신문 읽기를 권하는 부분에 눈이 간다. 종이 신문 읽기라... 그게 가능할까? 다른 이들은 모르겠지만 나는 아주 힘들다라는 결론을 내린다. 도대체 왜? 나를 둘러싼 삶의 구조가 종이 신문 읽기와 거리를 두기 때문에. 이건 내가 기독교를 믿거나 유신론자 되기가 힘든 것과 비슷한 부분이 있다. 나의 가족이나 친한 이 중에 기독교를 믿는 사람은 한 명도 없다. 관계를 넓혀야 기독교인이 나오고, 그마저도 삶의 접점이 그리 크지 않다. 한마디로 나는 평생동안 신 없이 살아왔고, 신에 대해 생각해본 경험이 거의 없다. 내가 신을 생각하려면, 진짜진짜 억지로 관심을 가지고 신을 사유해야한다. 아니면 진짜 기독교를 믿게 하는 혁명적인 사건이 내 삶에 일어나거나. 이 확률은 기적에 수렴한다. 그나마 내가 서양철학에 관심을 가지면서 신학이나 유신론, 무신론 관련 책을 읽어서 신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것이지, 그런 것에 관심이 없었다면 나는 내 가족이나 친구들처럼 신 없이 살다 죽었을 것이다. 종이 신문 읽기도 마찬가지다. 어릴 때부터 신문은 나의 삶이 아니었다. 신문은 어른들의 도구였고, 나에게는 tv편성표나 스포츠 결과를 볼 때 잠시 보는 정도였다. 이건 시간을 거치면서도 똑같았다. 나는 학창시절부터 지금까지 종이신문을 제대로 읽은 적이 없다. 구독한 적은 당연히 없다. 구독이라고? 그건 부모님이나 나랑 나이 차이가 나는 윗세대의 이야기다. 나나 내 친구들에게 종이 신문은 자기 삶과 관련이 없는 매체였다. 학창시절을 거쳐 어른이 되어서도 우리는 종이 신문과는 전혀 관련이 없었다. 그런데 어떻게 종이 신문을 읽는단 말인가? 읽어 본적이 없고, 읽을 이유도 없고, 읽을 필요도 없는데. 도대체 왜 읽어야 하지? 물론 책에 나오는 정희진 씨의 말은 옳다. 종이 신문이 불러 일으키는 사유의 방식과 인터넷이 불러 일으키는 사유의 방식은 다르고, 세상을 더 넓고 맥락적으로 보려면 종이 신문이 불러 일으키는 사유의 방식이 필요한 것도 맞다. 그러나 나는 그렇게 할 수가 없다. 아니 그렇게 하기가 힘들다. 종이 신문이 삶이 아니기 때문에. 한 번도 해본적도 없고, 앞으로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만약에 종이 신문 읽기를 하려면 나 혼자 해야한다. 불교의 수도승이 면벽하는 느낌이거나 기독교의 사제들이 깊은 수도원에서 홀로 수련하는 기분으로. 오롯이, 홀로,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한 번도 해본적 없는 걸, 책의 저자가 권했다는 이유만으로 할 수 있을까? 학자로서 정희진 씨는 주류의 언어를 벗어나 자신만의 언어를 찾는데 소수지만 책이나 이론의 도움이라도 받았을 것이다. 하지만 나의 종이 신문 읽기는 누구의 도움도 없이, 내 친구들이나 지인의 어떤 이해도 받지 못한 채 오로지 혼자서 해야 하는 일이다. 그걸 생각해보면 너무도 암담하고 힘겨워진다. 나는 종이 신문 읽기를 할 바에는 지금까지 해온 책읽기를 계속 할 것 같다. 종이 신문 읽기와 인터넷 매체 읽기의 차이를 살펴봐도 나는 종이 신문을 읽자는 말을 쉽게 할 수 없다. 차라리 그것보다는 인터넷 매체를 읽으면서 종이 신문이 불러 일으키는 사유의 방식에 가까워지려고 노력하는 게 훨씬 나을 방법일 것이라고 이야기 할 것 같다.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지는 나중에 생각할지라도


어쨌든 내게 너무나 힘든 종이 신문 읽기를 권하는 정희진 씨의 글을 보며 생각한다. 삶의 맥락이 다르기 때문에 권하는 방식이 다른 거라고. 나라면 종이 신문 읽기를 권하지 못했을 거라고. 나라면 인터넷 매체와 종이 신문이 불러 일으키는 사유방식의 차이점을 말하며, 인터넷 매체가 불러 일으키는 사유방식과 종이 신문이 불러 일으키는 사유 방식이 비슷해지게 만드는 방법을 한 번 찾아보자고 말했을 것 같다. 그것이 내가 권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이라고 생각하기에.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3-01-06 23: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당선작 축하합니다.
따뜻한 주말 보내세요.^^

짜라투스트라 2023-01-07 18:52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서니데이님도 따뜻한 주말 보내세요.^^

thkang1001 2023-01-07 11: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짜라투스투라님! 이달의 당선작 선정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항상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짜라투스트라 2023-01-07 18:52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thjang1001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항상 건강하세요.^^

thkang1001 2023-01-08 10: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짜라투스투라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남은 휴일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짜라투스트라 2023-01-08 13:43   좋아요 0 | URL
네, 저도 감사합니다.^^

얄라알라 2023-02-07 15: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주변에, 정희진읽기를 시작하신 시기에 (맞물리는지는 모르겠지만) 종이신문 구독도 같이 시작하신 분이 계셔서인지 짜라투스트라님 글 더 관심이 가네요

정희진 선생님은 워낙 다양한 매체(신문사)에 기고를 많이 하시니, 정기구독권도 많으실 수 있다는 상상도 해봤어요 ㅎ

축하드립니다 이달의 당선작~^^

짜라투스트라 2023-02-07 15:42   좋아요 0 | URL
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