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비 - 숲속의 삶 웅진 세계그림책 215
필리프 잘베르 지음, 이세진 옮김, 펠릭스 잘텐 원작 / 웅진주니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디즈니 애니메이션으로 알고 있는 '밤비'를 새롭게 재해석한 이야기다. 오스트리아 작가 '펠릭스 잘텐'의 원작이 출간 100주년이 되는 해가 2023년이다. 이에 앞서 20세기의 작품을 새롭게 각색한 21세기 버전을 만나보았다.

 

《밤비》를 새로운 버전 《밤비, 숲속의 삶》을 읽어봤다. 아니 읽어봤다는 표현 보다 그림을 감상했다고 하는 게 맞을 거다. 흑백, 그레이 톤의 장면을 뒤로하고 불쑥불쑥 튀어나오는 짙은 녹색의 숲에서 붉은 털을 가진 담비는 황홀함 그 자체였다. 연약한 노루로 태어나 아빠 엄마의 보살핌을 받으며 하루가 다르게 커가는 담비. 자연의 약육강식 세상에서 생존을 익히고 당당히 사랑을 쟁취하는 담비의 성장을 응원하게 된다.

 

그리고 숲의 왕자이자 아버지를 만나기도 생존을 배우기도 하지만, 사랑하는 사람을 인간의 손에 빼앗기는 과정을 통해 동물을 무분별하게 사냥하는 인간의 잔혹성을 경고하고
 

저자 '필리프 잘베르'는 이미 '빨간 모자'를 재해석한 《너의 눈 속에》, 《늑대의 사계절》을 통해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이번 프로젝트는 디즈니에서 만든 귀엽고 사랑스러운 이미지를 벗고, 점차 강인하고 당당해가는 담비 본연의 모습을 선보인다. 연필과 목탄으로 그린 뒤 색을 입히는 방식으로 섬세한 동물의 털과 숲의 아름다움을 포착했다.

 

책 속에 선보인 사계절처럼, 밤비의 홀로서기를 통해 우리의 삶에서 얻을 수 있는 게 무엇일까 고민해 보는 것도 좋겠다.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다. 넘어지고 깨지며 단단해진다는 것을 밤비의 사계절에서 배울 수 있다.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썼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뉴 맵 - 에너지·기후·지정학이 바꾸는 새로운 패권 지도
대니얼 예긴 지음, 우진하 옮김 / 리더스북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의 미래와 새로운 에너지, 지정학적 지도에서 우리가 차지하는 위치, 새로운 지형에서 살길을 모색하기 위해 꼭 필요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뉴 맵 - 에너지·기후·지정학이 바꾸는 새로운 패권 지도
대니얼 예긴 지음, 우진하 옮김 / 리더스북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대니얼 예긴'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에너지 및 국제 관계 전문가다. 클린턴 때부터 트럼프까지 미국 4개 행정부의 에너지부 자문위원회에 몸담은 경력이 있다. 바이든 행정부 가 반드시 이 책을 읽어야만 한다고 말했다. 과거에도 그래왔지만 에너지와 지정학적 위치는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산업이기 때문이다.

책은 에너지와 지정학적 문제로 극적인 변화를 이루는 새로운 지도에 관한 이야기다. 지정학은 국가들 사이 세력 균형 및 갈등 문제를 다루는 학문으로 위로는 러시아, 중국 아래로는 일본을 둔 우리에게도 퍽 중요하다. 거기에 작년부터 진행 중인 코로나19의 여파도 무시할 수 없다. 코로나로 인한 석유 시장 변화와 빅 3인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중동 국가의 미래를 전망해본다.

새로운 지형을 들여다보며 러시아와 중국이 같은 편이 되어 미국을 위협하는 이유와 전개 상황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안에서 에너지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들여다본다. 한 세기 이상 유지해온 석유와 자동차의 생태계를 바꿀 새로운 이동 수단 혁명도 다룬다. 그 선두에 미국의 '셰일 가스'도 있다. 셰일 가스란 단단하게 굳어 있는 퇴적암 지층인 셰일 암석층 사이에서 천연가스를 뽑아낸 것이다.

셰일 가스는 석유 없이도 60년을 버틸 수 있다는 천연 에너지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70년대부터 시작한 끈기의 결과였다. 미국은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세계 1위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국 및 주유 수출국이 되었다. 셰일 혁명과 셰일 폭등까지 미국 천연가스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수년 동안 석유와 천연가스를 가진 나라의 패권 다툼이 이어졌다. 에너지가 나온다고 다가 아니다, 이를 운반을 위한 지도도 중요한 싸움이 되었다. 10년 전 석유 고갈을 걱정하던 시대에서 수요의 정점을 고민하게 되었다. 이제 석유, 석탄, 천연가스는 탄소 배출 제로와 더불어 서서히 물러나고 있는 중이기 때문이다. 떠오르는 고민거리는 전기자동차, 무인 자동차, 서비스로 사용하는 이동 수단이다.

2015 파리협정으로 195개국이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협의했다. 대한민국은 경제규모에 비해 필요한 에너지의 85%를 화석 연료에 의지한다. 그것도 대부분 수입이다. 따라서 셰일 혁명은 한국의 경제 발전에 큰 공로를 세웠다. 하지만 30년 안에 인류는 에너지 전환을 이루어야 한다. 한국의 미래와 새로운 에너지, 지정학적 지도에서 우리가 차지하는 위치, 새로운 지형에서 살길을 모색하기 위해 꼭 필요한 책이다.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썼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래 옷장 웅진 모두의 그림책 40
박은경 지음, 김승연 그림 / 웅진주니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슬픔을 안고 살아간다. 누구는 펑펑 울고, 누구는 울고 싶지만 꾹꾹 눌러 담는다. 하지만 이 책은 슬픔을 고래 옷장에 두고 오라고 말한다. 마치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고 외칠 대나무숲 같다.

 

박은경 시인의 시 '울고 싶은 친구에게'른 김승연 작가의 삽화로 펴낸 그림책이다. 한 소녀가 편지를 쓰다가 노란 장화를 신고 옷장에 들어간다. 옷장 안은 칠흑 같은 어둠뿐. 소녀는 그래 배 속에 들어왔다고 상상한다. 드디어 상상의 포털이 열리고 환상이 시작된다.

 

여기는 울기 좋은 곳이다. 내가 엉엉 울면 고래도 깊은 소리로 따라 울어준다. 오히려 그 소리를 듣고 있으면 더 슬퍼서 울음이 멎는다. 그렇게 한참을 걷다 보면 슬픔도 잦아든다. 바다처럼 철철 넘치는 내 눈물도 고래다 다 뿜어줄 테니까. 시원하게 슬픔과 걱정도 날려주는 마법의 해우소가 고래 옷장이다.

 

여기는 울기 좋은 곳이다. 내가 엉엉 울면 고래도 깊은 소리로 따라 울어준다. 오히려 그 소리를 듣고 있으면 더 슬퍼서 울음이 멎는다. 그렇게 한참을 걷다 보면 슬픔도 잦아든다. 바다처럼 철철 넘치는 내 눈물도 고래다 다 뿜어줄 테니까. 시원하게 슬픔과 걱정도 날려주는 마법의 해우소가 고래 옷장이다.

 

"아이고아이고.." 우리네 장례문화에도 곡소리 내며 큰소리로 울어주는 사람이 있었다. 같이 울어주는 것, 슬픔을 참지 않고 터트려도 되는 곳. 그렇다. 슬픔은 혼자보다 같이 나눌 때 사라진다. 친구의 슬픔을 공감하고 위로하는 시다. 어른이 되면서 울면 안 되는 병에 걸린 사람이 많다.

 

하지만 슬픔은 참으면 병이되고, 눈물은 흘리면 해소된다. 참지 말고 울자. 나만의 고래 옷장으로 가 실컷 울어도 된다. 당신의 슬픔은 이미 반으로 줄어들고 있다.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썼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래 옷장 웅진 모두의 그림책 40
박은경 지음, 김승연 그림 / 웅진주니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치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고 외칠 대나무숲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