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 초기에 계연수(桂延壽)란 인물이 편찬했다는 한국상고 역사책인 환단고기(桓檀古記)는 진위 논쟁이 극단적이다.

이 책의 ‘단군세기(檀君世紀)에 오성취루(五星聚婁) 현상이 기록되어 있다.(’환단고기’는 ‘삼성기(三聖紀)’, ‘단군세기(檀君世紀)’, ‘북부여기(北夫餘紀)’, ‘태백일사(太白逸史)’ 등 네 책으로 구성된 책이다.)

기원 전 1733년 관측된 오성취루는 금성 목성, 토성, 수성, 화성이 일직선으로 늘어선 현상을 말한다.

길게 서술할 수 없지만 이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사실임이 확인되었다.(미국 프린스턴 대학 천체물리학 이학박사를 지낸 서울대 천문학과 박창범 교수의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참고)

천문학자 박석재 박사는 오성취루 같은 천문현상을 임의로 맞추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개천기’ 참고)

오성취루 같은 천문 현상을 기록했다는 것은 국가의 존재를 인정하게 하는 요소이다.

전용훈 교수는 전통시대 천문학은 국가천문학이었다고 말한다. 전용훈 교수는 그렇기에 역법과 천문의 두 분야 모두 제왕(혹은 국가)의 허가를 얻은 사람들만 수행할 수 있었고 관련된 모든 시작과 활동은 국가 운영에 기여해야 했다고 덧붙인다.(‘정조와 정조 이후’ 수록 ‘천문학사의 관점에서 정조 시대 다시 보기’ 중에서: 91 페이지)

여담이지만 환단고기의 환(桓)이란 글자가 눈에 들어온다. 굳셀 환, 빛날 환 등의 의미가 있고 머뭇거릴 환이라는 의미도 있는 글자이다.

내 어릴 적 이름이 태환(泰桓)이었다. 나는 이름대로 살고 있는가? 굳세지도 빛나지도 못하고 다만 머뭇거리기는 잘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