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비 - 위빠사나 수행기
정해심 지음 / 에디터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교에서 말하는 화장(火葬)을 의미하는 다비를 제목으로 한 책 다비(茶毘)’60세의 수행자가 기독교를 거쳐 알게 된 불교의 수행 중 초기 불교의 위빠사나를 한 기록이다. 저자에 의하면 기독교는 그에게 믿음이 무엇이며 초월적인 경험이 무엇인지 알게 해주었지만 의심을 키워준 종교이다

 

하지만 저자는 성향이 맞지 않아 기독교와 갈라서고 말았다. 저자가 불교를 접한 것은 일엽(1896 1971) 스님을 통해서이다. 본명이 김일엽(金一葉)인 일엽 스님은 일제 강점기의 여성운동가, 언론인, 시인이었고 불교 승려, 시인 겸 수필가였다. 일본 유학시기부터 화가 나혜석 등과 함께 자유 연애론과 신정조론을 외치며 개화기 신여성운동을 주도했던 분이기도 하다.

 

저자에게 위빠사나를 권한 분은 아내이다. 1990년대 저자는 생계를 위해 어려운 시절을 보내고 나니 몸과 마음이 지칠 대로 지쳐 세상 모든 것을 귀찮아 했지만 신기하게도 위빠사나에는 관심이 갔다고 말한다.(38 페이지) 저자는 삶의 실체를 조금이나마 알아보고 죽자는 마음으로 참여하게 된 위빠사나를 통증과 오기 속에서 가열차게 따라 갔다.

 

독학으로 하게 된 위빠사나는 저자로 하여금 나는 누구인가?”, “왜 태어나서 이렇게 살다가는 것인가?”란 의문을 갖게 했다. 그러나 좌선을 시작하면 얼마 되지 않아 통증이 오고 통증이 사라지는가 싶으면 망상이 오고 망상이 조금 사라지면 졸음이 오는 악순환(?)이 이어졌다.

 

위빠사나는 현상(마음, 대상, 느낌 등)을 바로 보는 수행인데 그 바로 봄을 통해 통증을 극복한 저자에게 이번에는 망상이 왔다. 저자는 호흡으로 인해 생기는 배의 일어남과 꺼짐 현상을 주목함으로써 보는 힘을 키웠다. 집중력이 좋아지면서 신비 체험이 왔다. 물론 환상은 권할 것이 아니다. 그저 주시의 대상일 뿐이다. 환상에 빠지면 수행이 이상한 길로 빠진다.

 

저자는 우리나라에 마하시 사야도의 위빠사나를 처음 소개한 거해스님으로부터 위빠사나를 배우게 된다.(마하시는 좌선, 행선을 번갈아 한다.) 저자는 수행이란 긴장과 이완의 균형을 잡는 것이라 말한다. 수행은 힘을 주면 안 되고 빼도 안 되고 죽기 살기로 대들어도 안 되고 자유롭게 풀고 있어도 안 되는 것이다.(57 페이지)

 

저자는 행선 중 신비 체험을 한다. 물론 인터뷰를 통해 지도 스님(거해 스님)으로부터 그래 뭐 대단한 거 본 것 같아?”란 말을 들었다. 저자는 수행을 홀로 하기로 마음 먹은 뒤 배가 일어나고 사라지는 현상의 간격이 점점 짧아져 톡톡 튀는 경험을 했고 호흡을 하지 않고 아는 마음만 남는 상태에 들어선다.

 

중요한 것은 강력한 선정(禪定)과 관찰이다. 저자는 지혜 없는 수행은 환상에 불과하고 지혜가 없으면 번뇌는 소멸하지 않는다는 말을 한다.(72 페이지) 저자는 불교 수행의 핵심은 계(), (), () 삼학(三學)의 조화라 말한다.(73 페이지) 저자는 두통을 수행(보는 힘)으로 극복한다. 저자는 모든 현상을 하나의 생멸현상이니 면밀히 관찰하게 된다.

 

저자는 교단 차원의 여러 트러블을 자등명(自燈明)의 지혜, 자신을 귀의처(歸依處)로 삼겠다는 다짐으로 넘어서기로 한다. 저자는 이런저런 힘든 일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을 보면 위빠사나 수행을 권하고 싶어진다고 말한다. 하지만 수행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사람들은 매우 드물다.(87 페이지)

 

저자는 수행 중 현상들의 소멸을 보게 되었다. 이는 위빠사나 수행에 수반하는 일반적 현상이다.(94 페이지) 위빠사나 수행에서 소멸의 경험은 불교 수행의 궁극적인 목표인 열반의 체험과도 연결된다.(95 페이지) 수행자는 나타나고 사라지는 현상들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바쁘다.(98 페이지)

 

생멸 현상에 적응이 되는 것은 집착을 내려놓는 것을 의미한다. 저자는 스승은 수행자가 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길잡이 역할을 할 뿐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는 해결사가 아니라고 말한다. 나 이외에 어느 누구도 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 저자의 지론이다.(109 페이지)

 

저자는 마하시 위빠사나 명상 센터에서 겪은 일을 소개한다. 한 스님께서 어떤 사람이 비오는 날 지붕 위에서 빗방울이 떨어져 바닥에 놓여 있는 댓돌을 오랜 세월 파내는 것을 보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말하는 것을 듣고 몸과 마음이라는 내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도 아닌 외부에서 일어난 현상을 보고 깨달았다면 소설책 보고 깨달았다는 말과 뭐가 다르냐는 질문을 했다는 것이다.

 

그러자 스님이 외부에서 내부로 옮겨 수행하여 깨달았다고 답하는 것을 듣고 저자는 미얀마의 모든 스님들이 진지한 수행자는 아니라는 판단을 했다.(111 페이지) 저자는 인과응보를 관장하는 자도 없고 업의 실체도 없으며 죄를 지은 고정된 자아도 없고 죄를 받는 고정된 자아도 없지만 수행을 통해 나타나는 현상들은 내가 쌓은 의도적 행위의 결과 외에 다른 답을 찾기 어렵다고 말한다. (128 페이지)

 

저자에 의하면 바라본다는 것은 관념을 내려놓고 존재의 실상을 아는 것이다. 나의 몸과 마음 안에서 일어나는 지금 이 순간 일어나는 현상이 실제이다. 수행자는 관념을 이어가는 이야기를 만들지 말고 그저 객관적으로 바라보기만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132 페이지) 자동적이며 동시에 편견으로 변형되기 쉬운 관념을 만드는 작업이 우리에게 지금까지 커다란 괴로움을 준 것이 사실이다.(132 페이지)

 

생멸 현상이 아닌 것은 없다. 수행의 시작에서 몸의 느낌(감각)을 대상으로 삼는다면 실제에 머무는 것이 쉬워진다. 생멸현상은 마치 파장의 연속처럼 이루어졌다. 생멸현상에서 영원이나 영속을 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고정불변의 영속적인 실체가 있다면 경험되어야 하는데 그런 것은 경험되지 않는다. 심지어 붓다도 이 고정된 실체(아트만)를 찾는 데 실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영원한 실체를 찾아 끊임없이 허우적 거린다.(132, 133 페이지)

 

먼저 일어난 현상과 다음에 일어난 현상은 같은 정보를 담고 있기에 같은 현상의 반복처럼 느껴지지만 자세히 보면 그것들도 계속 변해 간다.(135 페이지) 내 몸과 마음에 영원불변의 것이 없다는 것을 경험하면 이 세상의 모든 현상들이 그런 속성을 지녔다고 파악할 수 있다.(135 페이지)

 

저자는 나라고 하는 주체가 있어 아픔이나 가려움 등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며 나 자신이 통제하는 것 같지만 그 사이에는 내가 놓치는 무수히 많은 조건과 작용들이 함께 하며 혹시 내가 있어 조정한다 해도 그것은 생멸현상의 일부일 뿐 따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 말한다.(162 페이지)

 

그 과정들을 예리한 주시를 통해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바라보다 보면 어느 순간 저절로 알아지는 것이고 수행자는 오직 바라볼 뿐이다. 저자는 열반은 조건으로 연결된 작용의 중지라 말한다. 이다, 아니다, 있다, 없다 등으로 사고 체계를 동원하여 분별할 수 있는 작용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다.(170 페이지) 짧지만 인상적인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