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나 돌, 살갗 등에서 조직의 굳고 무른 부분이 모여 일정하게 켜를 지으면서 짜인 상태 또는 무늬를 의미하는 결이란 말은 어렵지 않지만 설명하라면 쉽지 않다. 나는 어제 이 결이란 단어를 세 번이나 들었다. 내가 처음 이 단어의 철학적 의미에 대해 들은 것은 이정우 교수님의 책에서였다.

 

이 교수님에 의하면 다산(茶山)이 말의 본래 쓰임새를 상세하게 추적한 리(: 진리)는 본래 옥석(玉石)의 결을 의미했다.(1999년 출간 인간의 얼굴’ 154 페이지)

 

결에 대해 들은 첫 번째 공간은 강남순 교수님의 책이다. 교수님은 학술서와 달리 개별인들이 주고 받은 편지는 그 한 사람이 지닌 다양한 존재의 결(layers of being)을 느끼게 한다는 말을 했다.(‘배움에 관하여’ 23 페이지)

 

() 또는 켜를 뜻하는 layer란 말로 결이 설명된 것은 어원을 보았을 때 매우 적확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결에 대해 들은 두 번째 공간은 페북이다. 어제 내게 답지한 생일 축하 메시지들 가운데 박태웅님이 세상에 와서 누리 결이 한결 **졌습니다.”란 글이 있었다.

 

결에 대해 들은 세 번째 공간은 강병국 저자의 주역 독해출간 기념 강연회장(마포 평생학습관)이다.

 

저자는 책을 통해 이런 말을 했다. "옥을 다루는 사람은 옥의 결을 찾아 옥그릇을 만든다. 마찬가지로 천지만물에는 모두 결이 있다. 그러므로 동양에서는 이치를 밝힌다는 말이, 결이 어느 방향으로 나 있는지를 밝히는 것과 동의어라고 생각했다. 그에 따라 사물의 결을 알고자 노력했던 것이다."(‘주역 독해 상경’ 34, 35 페이지)

 

나도 강의 후 진행된 사인회에 동참했다. 책을 구입해 서명을 받은 것인데 강의 중 나온 태괘(泰卦)와 비괘(否卦)를 보고 나는 경복궁 왕비 침전인 교태전(交泰殿)이 태괘에서 비롯된 것임을 말한 뒤 내 이름은 한자어로 朴泰雄이라 쓴다고 말했다.

 

태괘(泰卦), 교태전(交泰殿), 웅의 공통점을 부각시킨 것이다. 주역(周易)의 괘들은 모두 두 갈래로 이루어졌다. 소통이 잘 되어 태평한 경우인 태() vs 소통이 막히는 경우인 비(), 혁신, 개혁, 혁명의 길인 혁() vs 전통을 회복하는 길인 정(), 대세를 따라 자기 뜻을 굽히는 것인 손() vs 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는 것인 태()...

 

전형적인 이원적 대립 체계(binary opposition)이다. 물론 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주역은 변화를 말한다. 변화에 대비할 것을 가르치는 것이다.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란 한용운 선사/ 시인의 님의 침묵의 한 구절은 (당신은 의식했는지 모르지만) 주역의 논리를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어제 유종지미(有終之美)라 할 수 있는 것은 나선(螺旋)의 비유가 두 저자에게서 나왔다는 점이다. 강병국 저자는 변화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지기에 드라마틱하게 눈에 띄지 않지만 그 과정이 결국 상승의 과정이라는 말을 했다.

 

강남순 교수님은 가르침과 배움은 상반되는 것이 아니라 나선형처럼 서로 얽혀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다는 말을 했다. 교수님은 그 의미에 맞는 가르침/ 배움이란 말을 했다.

 

교수님은 슬픔과 기쁨, 비극과 희극, 어두움과 밝음, 우울함과 즐거움 등 상반된 덕목들도 결국 반대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나선형처럼 겹치기도 하고 갈라지기도 하면서 얽혀 있다는 말을 하셨다.('배움에 관하여' 123 페이지)

 

나의 어제는 두 분의 귀인(貴人)을 만난(한 분은 강연과 책으로, 한 분은 책으로) 하루였다. 물론 화룡점정의 붓질은 내가 치러야 할 몫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