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로맨서의 작가 윌리엄 깁슨은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다만 널리 퍼지지 않았을 뿐이다.(The future is already here it's just not evenly distributed.)”란 말을 했다. ‘뉴로맨서는 뉴 로맨서(new romancer: 새로운 전기傳奇 작가)가 아니라 뉴로 맨서(neuro mancer)이다.

 

신경(神經) 주술사(呪術師), 신경(神經) 예언가(豫言家) 정도의 의미를 가진 말이다. 사이버펑크 장르의 대표 소설가로 꼽히는 깁슨은 광역 인터넷을 자신의 말을 뒷받침하는 사례로 들었다.

 

물론 조크로 던진 말이지만 꽤 일리 있게 여겨진다. 기술 발달 여부에 따라 참 많은 것이 달라지는 세계가 아닌가. 양자(量子) 물리학 박사 마이클 브룩스는 정보는 물리학적이라는 물리학자 롤프 란다우어(Rolf Landauer: 1927 1999)의 말을 인용하며 우리가 찾은 모든 정보는 모종의 물리계와 연결된다고 덧붙인다.

 

가령 생명체의 정보는 DNA 가닥의 분자 배열을 따라 운반되며 컴퓨터에서는 정보가 전기 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축전기의 전하를 통해 암호화되며 정보는 광자(光子)의 양자 상태에 저장되어 전화 통화나 광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물리학을 낳은 위대한 질문들‘ 333 페이지)

 

() 선생님의 도움으로 생전 처음 usb를 사(20171221) 자료를 만들어 담고 어제 처음으로 파워포인트를 활용한 강의를 하고 돌아오며 내가 떠올린 것은 바로 깁슨의 말이었다. 이렇게 유쾌했던 어제를 돌이키지만 나는 요즘 교양 과학 책을 거의 읽지 못해 점점 인문학 영역에서만 노는 것 같다는 생각에 조금 우울하다.

 

생물학자 데이비드 조지 헤스컬의 '나무의 노래', 마쓰바라 다카히코의 '물리학은 처음인데요', 작곡(석사) 및 물리학(박사)을 전공한 존 파웰의 '우리가 음악을 사랑하는 이유' 등의 책이 내 치우침을 바로 잡아 줄 책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