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만성(大器晩成)이 아니라 대기면성(大器免成)이 맞다는 주장이 있다. 노자(老子)에게서 나온 대기만성은 큰 그릇은 모양이 없다(정해진 형태가 없다)는 의미의 대기면성(大器免成)으로 봐야 옳다는 주장이다. 주인공은 울산대 중문학과 박삼수 교수로 쉽고 바르게 읽는 노자’(20162)란 책을 통해 제기된 바에 의하면 대기’(大器)’()를 의미하는 말이다.

 

박 교수는 노자가 쓰인 2500년 전 만()자는 무()를 뜻하는 면()자의 가차자(假借字·어떤 뜻을 나타내는 한자가 없을 때 뜻은 다르나 음이 같은 글자를 빌려 쓰는 것)였다고 말한다. ..

 

이 대기면성은 앞 구절인 큰 사각형은 오히려 모서리가 없다는 뜻의 대방무우(大方無隅)는 물론 뒷 구절인 한없이 큰 소리는 오히려 들을 수 없다는 의미의 대음희성(大音希聲)과 문맥상 맞는다.

 

대방’, ‘대기’, ‘대음이 모두 도()를 의미하고, ‘’, ‘’, ‘가 모두 없다는 뜻이기에 일관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앞뒤 구절에 비추어 대기만성을 해석하는 것을 보며 김수영 시인의 '' 해석을 떠올리게 된다.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 먼저 일어난다.." 이 시는 여러 해석이 엇갈리는 난해시라 할 수 있다. 김수영 시인은 을 쓰기 전에 해동(解凍)’이란 수필을 썼다.

 

이 수필에 이런 구절이 있다. “이 봄의 과제 앞에서 나는 나를 잊어버린다. 제일 먼저 녹는 얼음이고 싶고 제일 마지막까지 남아 있는 철이고 싶다. 제일 먼저 녹는 철이고 싶고 제일 마지막까지 남아 있는 얼음이고 싶다.”

 

현실이나 외적 조건에 좌우되지 않고 스스로의 리듬에 따라 살아갈 것이라는 의미를 읽을 수 있다. 대기만성을 앞뒤 구절에 비추어 일관된 해석으로 연결해내는 것은 ''의 어려운 구절을 의미가 통하는 그의 수필에 비추어 해석하는 것을 연상하게 한다.

 

물론 나는 수필을 참고해 시를 해석하는 것이 설득력 있다고 생각하지만 타자의 해석의 자유를 존중한다. 나는 다만 시는 시 나름의 논리가 있겠지만 시가 시인의 삶 및 생각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말은 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