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촌의 ‘비화림(秘花林)’에 이어 또 하나의 종로의 동네 서점을 알게 되었다. ‘초소(哨所) 책방(冊房)’이 그 주인공이다. 2020년 늦은 가을 문을 연 인왕산 자락의 서점이다. 1968년 1.21 사태 이후 세워진 인왕산 경찰 초소를 리모델링해 태어난 이 서점은 수성동 계곡에서 200여미터 거리에 자리하고 있다.

 

지난 해 10월 수원화성길과 올해 7월 인사동 화랑길에 동행한 이 선생님께 시간 내 그 서점에 같이 가자는 톡을 보냈다.(이 선생님과 5년 넘게 친구로 지내고 있지만 이런 제안을 한 것은 처음이다.) 동네 서점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올해 3월 연천 전곡에서 오픈한 달달(달리는 달팽이) 서점으로 인해서다.

 

대형 인터넷 서점을 주로 이용하는 입장에서 작은 서점을 들르는 일에는 나름 의미가 있다. 내가 관심 두지 않는 분야의 책들에 대한 독서 계획을 세우게 되는 것이 그 하나다. 지난 2018년 혜화동의 송석복지재단을 통해 들은 강의의 진행자가 운영하는 성남의 작은 책방(블로그)에 들어가서 알게 된 바는 내가 너무 인문 독서에 소홀했다는 점이다.

 

지질을 중심으로 한 자연과학, 역사, 서울 문화 답사 등에 비중을 둔 결과 인문이나 고전 등에 소홀한 것이다. 올해 어제까지 모두 88권의 책을 읽고 서평을 썼다. 중요한 점은 이런 정도의 추세라면 주역(周易)과 고전 또는 동양 철학 공부는 물론 니체, 베르그송, 스피노자 등 서양 철학 공부에도 시간을 낼 수 있을 것이란 점이다.

 

철학과 인문학은 다르기에 그 차이에도 주의해 시간을 써야 할 것이다. 모든 학문은 하나로 통하기에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