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공부는 문해력이 전부다 - 내 아이를 바꾸는 문해력 완성 3단계 프로젝트
김기용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는 문자 해독률은 아주 높지만 문해력은 매우 낮다. 문자 해독률이 높은 것은 우리나라 문자가 배우기 좋은 것 때문인 점, 남다른 학습 의지 등이 두루 작용한다. 반면 문해력이 낮은 데에는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한 점, 학교 졸업과 함께 글읽기에서 멀어지는 것 등이 두루 작용한다.

 

문해력은 개인의 생존은 물론 공동체 생존의 전제다. 그럼 초등학생은 어떤가? 아니 이렇게 묻기보다 초등학생들의 문해력 향상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를 생각해야 하리라. 초등 교사 김기용 님의 ‘초등 공부는 문해력이 전부다’는 ‘평생 성적, 문해력이 좌우한다’는 부제를 가진 책이다.

 

저자에 의하면 초등 시기는 문해력을 키우는 시간이다. 문해력은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문해력이 부족하면 생각하고 표현하고 응용하는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문해력은 모든 학습의 기초다. 서술형 평가 문제가 늘어나는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

 

중요한 사실은 남들보다 뛰어난 고차원적인 문해력은 노력과 반복, 실천을 통해 길러진다는 점이다. 올바른 이해는 입력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출력으로까지 이어져야 한다. 저자는 모르는 단어를 모두 알려고 하기보다 유추하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학년별 특성에 따라 접근법이 다르다. 초등 단계는 그리 길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6년이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문해력에서 눈에 띄는 변화가 발생한다. 비문(非文)을 쓰는 어른의 경우 글쓰기 실력이 없어서 그러는 것이 아니라 문해력이 떨어지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창의력이 가장 높은 집단은 명확한 규칙 아래 모든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들어주는 부모 아래서 자란 아이들이라고 한다. 어휘력을 키우는 데 중요한 초등 시기는 게임을 하기보다 책 읽기를 해야 한다. 게임 하는 데에 시간을 많이 쓰면 책 읽기에 시간을 낼 수 없어 어휘력을 키우는 데 문제가 발생한다.

 

아이들에게는 과녁을 향해 날아가는 화살처럼 목표가 있는 과녁 독서가 필요하다. 목표는 동기를 부여하고 성취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관용적 표현이 사고력을 키운다. 저자는 한자를 중시한다. 교과서 단어의 50퍼센트 이상이 한자어다.

 

말놀이하기, 우리 가족 행복 시간 찾기, 가족 일기 쓰기, 아이만의 어휘 사전 만들기, 좋아하는 책 따라 쓰기 등은 어휘력을 기르는 다섯 가지 습관이다. 말을 많이 할수록 어휘력도 자란다. 언변이 좋은 아이들은 집에서 부모님과 많은 대화를 나누고 독서량이 많고 말하기를 정말 좋아하는 아이들이다.

 

저자는 실수에 대한 두려움을 버리고 적극적으로 말할 것을 권장한다. 저자는 두 명 혹은 네 명이 짝을 지어 서로 질문하고 토론하는 유대인 전통 교육방법인 하브루타 대화를 추천한다. 저자는 매일 글쓰기를 추천한다. 당연하게도 글쓰기는 책읽기에 의해 추동된다는 점이다.

 

저자는 글쓰기는 무조건 재미 있게 접근하라고 말한다. 테마 일기 쓰기는 부담 없이 문해력을 키우는 최고의 방법이다. 생각을 확장하는 거미줄 글쓰기란 것이 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글쓰기를 말한다. 아이의 자존감은 문해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자존감이 높은 아이들은 모르는 문장과 단어를 보아도 도전적으로 읽는다.

 

아이에 대한 믿음 갖기, 아이의 자율성 기르기, 작은 성취감 갖게 하기 등이 필요하다. 1) 올바른 공책 정리 습관을 기르도록 한다. 학습 후 10분 후, 1일 후, 일주일 후, 한 달 후 등 총 네 번 복습하면 머리에 오래 남는다. 2) 수업시간에 메모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한다. 3) 교과서와 친해지도록 한다. 4) 일곱 구절로 요약해 연습하도록 한다.

 

마지막 장 제목은 ‘아이 스스로 문해력을 키운다’이다. 적절한 보상과 피드백이 필요하다. 자기문해학습 능력이 뛰어난 아이들은 1) 나는 할 수 있다는 긍정적 마인드를 갖는다. 2) 자율성과 책임감이 높다. 3) 되돌아보는 능력을 갖추었다. 부모는 학습의 동반자다. 비교하지 말고 자기 아이에게 집중한다. 규칙적인 생활 습관이 공부력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