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의(土宜)란 땅에서 나는 작물을 의미한다. 의(宜)가 마땅하다는 뜻이니 토의란 작물을 키워 먹을 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땅의 순리란 뜻에서 도출된 단어이겠다. 사실 땅이라기보다 흙이라 해야 옳을 것이다.

 

나는 흙에 대해 얼마나 알까? 화강암이 풍화되면 모래흙이 되고 현무암이 풍화되면 점토질 흙이 된다.(데이비드 몽고메리 지음 '흙' 31 페이지) 이 정도는 단순한가? 자연을 이야기할 때 하나만을 볼 수는 없다.

 

모쿠다니 구니야스는 지구에는 산과 구릉, 평야와 해저 등 다양한 지형이 있지만 달에는 그런 지형이 보이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며 지구와 달리 달에는 물질을 운반하는 바람과 공기가 없기 때문이라는 말을 했다.('그림으로 배우는 지층의 과학' 36 페이지)

 

데이비드 몽고메리는 강수량이 많을수록 땅위를 흐르는 빗물이 많아지고 따라서 침식이 더 많이 일어나지만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여 흙이 침식되는 걸 막아 준다고 말하며 이런 기본적인 균형은 강수량만으로 흙의 침식 속도가 결정되지 않음을 알려준다고 설명한다.('흙' 34 페이지)

 

전자의 두 가지(물과 공기)와 후자의 두 요인(비가 하는 두 가지 일)은 차원이 다르다. 전자는 협동 관계고 후자는 길항(拮抗) 관계다. 아니면 상반(相反) 관계든지. '세종실록지리지'는 흥미롭게도 토지의 비옥도를 평하며 비척상반(肥瘠相半)이란 표현을 썼다.

 

비옥함과 척박함이 반반이라는 의미다. 그러나 당시는 토양 구조나 점성(粘性), 토양 색 등보다 비옥도를 더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으니 흥미롭다는 표현은 맞지 않는지도 모르겠다.

 

그것은 먹고 살아야 했기에 생긴 현실적인 기준이었다. 물론 상반이란 표현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토양의 점성이나 색에 대해 상반(相半)이란 표현을 쓸 수 있을까?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