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가 요한 하위징아(Johan Huizinga; 1872 - 1946)에 관심이 간다. 하위징아에 대해서 '호모 루덴스'보다 '중세의 가을'이 실제적이라는 점에서 적어도 나에게는 더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중세의 가을이란 하위징아가 전성기를 지나 쇠락해가는 시기로 알려진 14, 15세기를 르네상스를 거쳐 근대로 나아가는 시대로 보았다는 뜻이다.

 

하위징아는 낡은 사상의 형식들은 죽어 버리지만 그와 동시에 같은 토양 위에서 새로운 싹이 움터 나와 꽃피기 시작한다는 말을 했다.

 

움베르트 에코(Umberto Eco: 1932 - 2016)는 중세는 단일한 특성을 지닌 하나의 세기가 아니고, 유럽 문명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고, 암흑기가 아니었고, 고전 문화를 무시하지 않았고, 화형의 불꽃은 다른 시대에도 타올랐다는 말을 했다.

 

중세를 이야기하려면 자크 르 고프(Jacques Le Goff; 1924 - 2014))를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그의 책 가운데 '연옥의 탄생'이 있다. 지금 읽고 있는 일로나 예르거(Ilona Jerger)'두 사람 - 마르크스와 다윈의 저녁 식사'에 천국, 지옥, 연옥 이야기가 나온다.

 

지옥은 자본주의, 천국은 공산주의, 연옥은 평화로운 공산주의로 가는 과도기(폭압적인 중간 단계)로 소환되었다. 다윈과 그의 주치의인 베케트 박사가 마르크스의 사상을 두고 나눈 대화에 나오는 내용이다.(다윈은 마르크스의 선동을 못마땅해 하고 베케트는 지지한다.)

 

그리스도교와 스탈리니즘의 세부 사항들을 대응시킨 최인훈(1936 - 2018)'광장'이 생각난다. 에덴시대 vs 원시공산사회, 타락 vs 사유 제도의 발생... 천년왕국 vs 문명공산사회 등이 대응되었지만 연옥은 나오지 않는다.

 

고프는 연옥 개념이 정립된 12세기에 주목했다.(연옥 개념은 12세기에 갑자기 만들어진 개념이 아니다.) 12 세기는 르네상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사회와 문화 수준이 최고점에 오른 중세의 한 시기다. 후일 프로테스탄트가 되는 세력들은 연옥 개념을 부정했다.

 

고프에 의하면 천국보다 지옥에 가깝지만 그 자체로 천국을 향한 낙관적인 전망과 열망에서 나온 연옥 개념은 민중 통제를 위해 교회가 만든 제도라기보다 중세인들의 망탈리티 속에 자리잡았던 합리와 낙관의 요소들이 반영된 결과물이다.

 

다시 내 이야기를 하자면 지금까지의 수사(修辭)적 말들에도 불구하고 중세에 대한 내 관심은 결국 도서관(수도원)에 대한 관심인 셈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자료들을 찾는 일이 남았다. 기존의 3D에 하나의 D(Depressive; 두달이고 석달이고 찾아오는 사람도 없는 외딴 곳에서 발굴을 하니 우울한..)를 더해 자신들의 직업을 4D 업종이라 말하는 고고학자가 된 마음으로 지층을 파헤쳐 결과를 얻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