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사진을 보며 한여름 극심한 폭염을 이겨보려고 앨범을 뒤지다가 눈내린 한양도성 혜화 구간을 순회하며 찍은 2016년 12월 말의 수업 사진을 어렵게 발견, 단톡방에 올렸다.

그런데 뭘 잘못 만졌는지 키보드가 영어로만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서툰 영어로 설명을 해야 했다.

그 사진은 함께 수업한 우리 모두가 알지만 게시자의 입장에서는 왜 올렸는지에 대해서 밝히는 것이 순리였다.

이 사진이 우리의 좋은 겨울을 생각나게 한다, 한국어 키보드가 작동하지 않는다, 죄송하다 정도의 말을 영어로 썼지만 결국 언어의 한계가 곧 사유의 한계임을 실감하는 시간이 되고 말았다.

그 후 이런저런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키보드를 복구하고 충분한 전후 사정을 우리 말로 게시하고 나자 속이 후련했다.

외국의 모 인터넷 사이트에서 이런 글을 본 생각이 난다. I write better than I Speak. 말하는 것보다 더 잘 쓴다는 말인데 동의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나는 말하기 만큼 쓰기도 어렵다고 생각한다. 아니 말하기 만큼 쓰기도 쉽다고 해야 할지도 모른다.

쓰기는 참 더딘 과정이지만 바로 바로 고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말 대신 글을 쓰면 문법을 지키고 주술관계를 맞추는 등 비문을 쓰지 않기 위해 신경을 써야 하고 그것이 쓰기를 어렵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우리나라 일급 작가들의 비문들을 예시해 바르게 고친 박찬영의 책을 보고 명문 쓰기는 고사하고 비문 쓰기의 오류를 범하지 않는 것도 쉽지 않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글을 쓰고 또 쓰면서 바르게, 간결하게 하는 연습을 하다 보면 저절로 어법에 맞는 말을 하게 된다.

물론 내용도 충실해야 하지만 둘 다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책 읽기임을 생각한다면 책을 꾸준히 읽어야 한다는 말 외에 특별히 할 말이 없다.

내 카카오스토리를 보고 내가 책을 엄청나게 많이 읽는다는 말을 하는 분이 있고 특별하다, 호기심을 갖게 한다는 말을 하는 분이 있지만 다독이나 특별함이 해결책은 아니다.

그럼에도 기본은 여전히 책이다. 엄청나게 읽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인 사람이 되는 것, 일상 가운데서 특별하기보다 새로운 것을 잘 말 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이 내 꿈이다. 여전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