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 감정의 정치학 마이크로 인문학 6
김종갑 지음 / 은행나무 / 201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혐오(嫌惡)라는 감정을 해명할 필요가 있다. 이런 생각으로 김종갑 교수의 혐오, 감정의 정치학을 읽는다. 물론 해명 이후에 대안 제시 아니 적어도 당위 차원의 당부를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혐오는 분노와 달리 말이 통하지 않는 감정이다. 혐오는 상대를 동물화하는 감정이다.

 

혐오의 본질은 타자화에 있다. 저자는 혐오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이유를 그것이 정치적이기 때문이라 말한다.(16 페이지) 혐오는 자기보다 약하고 만만한 상대를 타겟으로 고르기에 정치적이라 말한다.(191 페이지) 저자는 혐오의 에너지도 세상을 바꾸는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다는 믿음이 없었다면 책을 쓰지 않았을 것이라 말한다.(18 페이지) 혐오감은 생명 유지는 물론 정체성 유지를 위해서도 기능한다.(26 페이지)

 

중요한 점은 혐오감은 이해관계보다 더욱 강력한 동기 즉 자기 정체성과 분리해 생각할 수 없다.(93 페이지) 혐오는 자신에 대해서도 작동한다. 이런 자기혐오는 발전의 밑거름이 되기도 한다. 자기혐오는 나르시시즘적이다. 자기를 사랑하기 위해 자기를 먼저 부정하기 때문이다.(65 페이지) 자기혐오는 한편으로는 죽지 않는 영혼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죽어가는 비루한 육체라는 이중적 존재인 인간 정체성으로 인해 생긴다.(41 페이지)

 

취향과 감각에도 역사가 있다.(51 페이지) 혐오는 철저하게 사회적이고 정치적이다. 혐오 식품이란 말을 보자. 이 말은 1984년에 생겼다. 올림픽 유치로 인한 현상인데 이는 당연히 외국이라는 타자의 시선을 염두에 둔 결과이다.

 

혐오의 주체는 혐오의 대상에 대해 우월한 위치에 설 수 있다. 혐오는 나르시시즘을 강화한다.(66 페이지) 대상을 혐오하면 할수록 자신은 그 대상과 다르다는 착각에 빠지게 된다. 가령 악을 혐오하면 할수록 자신은 선한 사람이라는 착각에 빠질 수 있는 것이다.(82 페이지) 혐오의 논리는 상대를 죽여야 내가 산다는 논리로 발전한다.(92 페이지)

 

증오와 폭력이 집단적 규모로 확대되며 사회적 갈등을 야기할 소지가 있는 범죄가 혐오 범죄로 분류된다.(70 페이지) 전두환 정권의 삼청 교육대 사건은 권력이 사회악으로서 혐오의 대상을 만들어낸 사건이다. 혐오의 정치는 권력 내부의 폭력을 외부의 대상으로 투사하는 권력의 기제다.(76 페이지) 혐오 범죄는 소수의 희생(타자화)을 통한 다수의 자기 치유의 메커니즘이다.(78 페이지)

 

하퍼 리의 앵무새 죽이기는 혐오의 속성을 잘 보여주는 소설이다. 1930년대 초 남부 소도시를 배경으로 한 이 소설에서 앵무새는 미워하고 욕할 이유가 없는데도 누가 욕하면 덩달아 미워하고 욕을 하는 사람들을 상징하는 말이다.(93 페이지)

 

이를 보며 생각할 수 있는 말이 역치(閾値)가 낮다는 말이다. 자기혐오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서 흠을 발견하는 것이라면 타자 혐오는 남에게서 찾아낸 흠을 가지고 자신의 결점을 숨기는 것이다.(103 페이지) 물론 엄밀하게 말해 자기혐오는 자기혐오가 아니다. 그것은 나의 부족함을 인식하고 발전의 도약판으로 삼기 위한 행동이다.

 

저자는 혐오감은 자기 정체성의 한 축을 이룬다고 말한다. 내가 이 세상의 모든 것을 다 좋아한다면 그것은 내가 개성이나 정체성이 없다는 말이나 똑같다는 것이다. 모든 것을 다 좋아하는 것은 무질서이다.(109 페이지) 인상적인 말이지만 자기 정체성을 위해서라면 굳이 혐오가 아니라 배제의 감정, 불선택의 감정만으로도 가능하지 않을까?란 생각이 든다.

 

혐오는 역사적이며 문화적인 변수이다. 이는 개인의 성향과 취향이 진공 속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사회적 영향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114 페이지) 저자는 동성애에 대한 관점 변화를 거론하며 혐오스러운 사람은 존재하지 않고 대상을 바라보는 혐오의 감정과 태도만이 있을 따름이라고 말한다.(115 페이지)

 

혐오 가운데 가장 문제적인 여성 혐오에 대해 생각해보자. 이는 넓게 보면 가부장적인 역사와 문화, 제도가 만들어낸 관행, 언어, 생각, 태도, 감정 등을 총칭하는 말이다.(117, 118 페이지) 여자는 이래야 하고 저래야 한다는 식의 생각, 바람 등은 여성 혐오의 혐의에서 자유롭지 않다.

 

물론 저자는 가부장제가 곧 여성 혐오라는 등식은 성립하지 않는다고 말한다.(119 페이지) 판도라의 신화와 아담을 타락시킨 이브 이야기는 여성의 잘못으로 인해 죄 없는 남성들이 불행을 덤터기로 짊어지게 되었다는 주장을 근저에 깔고 있다. 이를 보며 군 가산점 폐지로 인해 손해를 감수함으로써 피해의식과 박탈감 등에 시달리는 남성들이 여성 험요를 하는 사실을 생각하게 된다.

 

문제는 무엇일까? 서양 철학은 남성을 이성적 존재로, 여성을 감정과 본능의 존재로 그렸다.(121 페이지) 그렇다면 여성을 그런 존재로 만든 기독교의 신(그리스 신화의 경우는 생략)을 문제삼아야 옳을 것이다. 그러나 손쉽게 여성을 문제삼는다. 이는 병역 가산점 제도로 피해를 여성, 장애인 등에게 부가하는 정책을 펴다가 그 제도를 폐지함으로써 남성들에게 불리를 감수하게 할 뿐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정부 대신 여성에 분노와 적대감을 표하는 것을 닮았다.

 

버지니아 울프가 자기만의 방에서 말한 바를 통해 알 수 있듯 20세기 초반까지 여성들은 정규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 읽고 쓰는 것을 남자들이 독점했다. 여성은 공적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언어와 매체를 갖지 못했다.(122 페이지) 최근 강신주는 여성 철학자는 한나 아렌트 외에는 없다는 말, 페미니즘은 수준이 떨어진다는 말 등을 했다. 몰이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저자는 페미니스트들이 말하는 여성혐오와 남자들이 이해하는 여성혐오에는 딱 부러지게 규정하기 어려운 편차가 존재한다고 말한다.(154 페이지) 우에노 치즈코의 여성혐오를 혐오한다를 보자. 이 책에서 개진된 치즈코의 논의는 구조주의적이다. 여성혐오는 의식의 표면보다 무의식의 심해에서 일어난다고 본 것이다.(156 페이지)

 

치즈코는 여성을 대상화하는 것을 여성 혐오로 보았다. 이는 마사 너스바움의 논의와도 통하는 바이다. 저자는 지나치게 구조주의적 접근은 왜 여성혐오가 한국사회에서 최근 지배적인 정동이 되었는지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이다.(162 페이지)

 

세상이 많이 변했다. 특히 가부장 질서가 많이 약화되었다. 그럼에도 아직도 여성이 살기 힘든 사회가 우리 사회이다. 소크라테스를 주목하게 된다. 그는 남성 우월적인 편견에 휘둘리지 않고 디오티마라는 여성을 만나 그녀의 지혜에 감탄하고 그녀로부터 사랑의 본질에 대한 귀중한 가르침을 얻었다.(187 페이지)

 

저자는 혐오 대신 분노로 혐오의 구조에 저항하며 그것을 전복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 반복의 악순환에 온몸으로 저항해야 하는 것이다.(195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