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렉산더의 연인
샨 사 지음, 이상해 옮김 / 현대문학 / 2007년 1월
평점 :
품절
「알렉산더의 연인」을 읽기 전에는 묵직한 설렘 같은 것이 있었다. 첫사랑을 대하듯, ‘샨사’라 불리는 작가와 처음으로 대면하는 자리였기에 더욱 그랬다. 의례 사람의 첫인상에서 많은 것을 느낄 수 있듯이, 작가의 소설작품을 읽기 전에는 그의 첫 느낌을 중요시하는 개인적인 습관에 기여한 탓이다. 많은 양은 아니지만, 국내에 소개된 몇몇 작품들에서 그녀의 탁월한 기량을 인정받은 ‘샨사’의 차기작에 개인적인 기대심이 다소 다른 방향으로 어긋난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우선, 「알렉산더의 연인」은 굉장히 분주한 소설이다. 다르게 말하면 ‘산만’ 내지는, ‘어지러운’느낌을 자아내서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들이 즐비했다. 간결하게 끊어지는 문장이 긴 호흡을 요하지는 않으나, 맺고 끊음이 확실하지 않아 ‘도대체 무슨 말을 하고 있는 건가.’라는 의문이 들만큼 대체적으로 차분하지 못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그녀가 제시하고 있는 ‘알렉산더’와 ‘알레스트리아’의 관계는 단순한 에로티즘을 넘어선 영혼의 화합이라는 거대한 목적아래 탄생된 인물이다. 그러나 허상의 느낌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순수한 열정을 잃어버린 느낌마저 들었다.
역사가 간직하고 있는 중요한 인물을 다시 탄생시키기 위해서는 모든 작가나 연출가의 개인적인 견해가 포함되기 마련이다. 일부 매체에서 다루어진 ‘알렉산더’라는 인물의 중추적인 묘사는 동서양을 화합해 대제국을 건설한 위대한 정복자라는 강렬한 이미지를 부여해두었다. 반면 ‘샨사’가 말하고자하는 ‘알렉산더’라는 인물은, 동성애라는 성적인 취향의 퇴폐적인 측면을 강조한 채 수습은 엉뚱한 여인에게서 찾은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알렉산더와 알레스트리아의 사랑에는 무언가가 빠져있다. 그 공허함의 중심에는 ‘알렉산더 2세’의 간절한 염원만이 가득하고, 서로를 사랑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는 불분명하게 나타나있다. 모든 사랑이 그렇듯 ‘운명’에 기초하여 부득이하게 이루어진 행위의 결과가 못내 안타까움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샨사가 전기소설을 쓰고자 노력했다면, 최소한 인물 내면에서 이루어지는 고뇌와 번민의 깊이, 그리고 인물들 간에 이루어지는 폭넓은 갈등의 순간들 또한 헤아렸어야 한다. 스펙터클한 전쟁의 묘사는 애초에 이 책이 추구하는 목표가 아니기에, 알렉산더대왕의 사적인 부분들의 솔직함만을 발견할 수 있을 뿐이다.
방탕한 폭군 아버지를 둔 ‘알렉산더’는 그의 어머니에게 동정과 연민을 느끼는 동시에 증오를 품게 되고, 그것은 어긋난 여성에의 거부감으로 표출되어, 창남이나 남자하인들을 탐하게 된다. 스스로도 남성을 사랑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리지만, 후에는 여왕을 맞이해 사랑의 마침표를 찍게 된다. 그리고, 유목하는 시베리아 아마존부족의 여왕으로서, 남성들을 능가하는 기상과 전투능력을 갖춘 ‘알레스트리아’…. 그러나 그녀는 여자들만 이루어진 집단에서 남자를 사랑해서는 안 된다는 불문율을 깨고, 알렉산더라는 남성을 사랑하게 되어 결국 그를 차지한다.
알렉산더는 자신의 어머니 같은 ‘무력한 아내’를 인정할 수 없었기에, 남성 못잖은 힘과 능력을 지니고 있는 알렉스트리아를 선택하게 된다. 그녀에게서 남성성과 여성성을 동시에 발견했기 때문에 가능한 결과이다. 알렉산더 역시 여성인지 남성인지 구분이 되지 않는 아름다운 외모를 지녔기에, 많은 남성들로부터 신뢰와 사랑을 차지하게 된다. 두 사람의 첫 만남부터 그러하듯, 작가가 그려낸 두 인물은 남성성과 여성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자웅동체’의 이미지를 중점으로, 모든 스토리를 이끌어가고 있다.
양성을 탐하는 것은 이미 오래전부터 이루어진 인간의 욕망이다. 오히려 모든 성적인 의미에서 탈피해서 한 영혼을 사랑하는 길이 모든 세상사의 순리일지도 모른다. ‘샨사’는 男女라는 염색체가 주는 기능을 떠나서, 사람 대 사람의 순수 운명적인 사랑 그 자체를 그리고 싶었던 것 같다. 그리고 그녀가 말하고자 하는 중심에, 희미한 전설로 남아있는 알렉산더라는 인물을 선택했다. 내가보기엔, 알렉산더가 샨사를 선택한 것이 아니라, 그녀가 알렉산더라는 고급 인물을 선택했을 뿐, 더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기는 힘들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