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르헤스와 불멸의 오랑우탄
루이스 페르난두 베리시무 지음, 김라합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많은 작가와 감독들은 ‘월등하게 우수했던 누군가의 과거 작품’에 대한 존경심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존경심에서 비롯된 순수한 마음을 종종 발견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 우리는 은밀한 희열을 느끼게 된다. 책 쓰는 사람 역시, 책을 읽는 사람이기도 하므로, ‘독자’였다는 한 가지의 공통점으로 다시 한번 더 독자와 가까운 거리로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기존의 작품을 교묘하게 자신의 창작물에 차용한다면 ‘표절’이 될 것이고, 원작에 대한 예의를 갖추어 정중하게 ‘차용 좀 하겠습니다.’라는 문구를 적어둔다면, 이것은 ‘오마주’ 내지는, ‘패러디’문학으로 분류 될 수 있다. 「보르헤스와 불멸의 오랑우탄」은 저자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와 ‘에드거 앨런 포’ 두 작가에 대한 존경심을 담아 재기발랄한 추리 문학을 탄생시켰다.


  본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보르헤스’와 ‘포’의 작품들을 알고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그런데, 이해의 차원을 넘어 ‘즐기기’위한 목적이라는 전제가 붙는다면, 보르헤스와 포의 작품들을 알고 있다면 더 큰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을 듯 하다. ‘포’는 미국 추리문학의 선구자로서, 사후에 그의 문학적 천재성을 인정받아 그를 추종하는 수많은 추리 작가들에게 밑거름이 되었다. 보르헤스 또한 초현실적인 픽션에 뿌리를 두고, 20세기 문학사에 큰 공헌을 한 인물이다. 책을 읽는 내내 저자가 이 두 작가에 대해 얼마나 깊은 애정을 품고 있었는지 여실히 느낄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포의 단편 전집은 읽어보았으나, 보르헤스의 단편 전집은 읽어보지 못했다. 본서에 등장하는 포의 단편 중 가장 큰 핵심 요소로 자리하게 되는 ‘황금 곤충’을 알고 있었기에, 작품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저자는 ‘포’와 마찬가지로 가장 단순한 사건에서 우주적인 관점으로 해석의 흐름을 넓게 지향하고 있는 듯 보인다. 추리 소설의 정석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포’와 ‘보르헤스’라는 두 인물의 사실적인 요소들을 가미해서 ‘픽션 같지 않은, 픽션’을 탄생시킨 것이다.


  솔직히 말해서, 이 작품의 반전은 예상하고 있었기에 그다지 놀랍지 않았고, 다만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오마주와 패러디라는 이미 우리에게 익숙한 영역으로 침범한 낯선 작가의 문학적 재능에 있다. 생소한 남미작가의 소설, 그것도 추리 소설…. 비록 저자는 추리 소설 전문가가 아니지만, 작품을 흔하지 않은 독특한 구성으로 감칠맛 나게 문장을 만들어내는 재주가 있는 듯 하다.


  재미있는 단서들로 ‘로트코프’라는 이름의 독일인의 죽음을 추적하는 세 사람. 나는 이 중에서 편지글의 발신인 ‘포겔슈타인’을 ‘작가 자신’으로 여기며 읽었다. 보르헤스와 함께 의문의 살인사건을 추적하면서, 보르헤스와 편지를 주고받는 포겔슈타인은, 아마도 작가의 분신이자, 작가의 염원이 아니었을까 싶다. 「보르헤스와 불멸의 오랑우탄」 굉장히 사실적이면서도 추리 소설적 규칙에 잘 따르고 있는 작품이다. 보르헤스와 포를 우상으로 삼고 있는 분이라면 이 책을 더욱 멋지게 즐기면서 읽어볼 수 있을 듯 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7-02-28 14: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뻔한 추리지만 보르헤스가 있어 빛난 작품이죠^^

mind0735 2007-02-28 17: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뻔한 추리지만 '포'도 있어서 빛난 작품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