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책은 도끼다 - 박웅현 인문학 강독회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우리는 내면의 욕망을 들여다보지 않습니다. 그저 욕망을 하죠. 우리의 욕망을 구성하는 재료가 얼마나 허망한 것들인지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아요. 그런데 욕망의 구성 재료들이 무엇인지 알고 나면 우리는 덜 불행해집니다. 그런데 이 욕망은 사유의 창을 통해 들여다볼 수 있어요. 사유라는 게 사실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스마트폰 끄고, 접속을 멈추고 그저 가만히 있는 겁니다. 인풋도 아니고, 아웃풋도 아니고 노풋 상태로 있는거죠. 사유하는 시간을 갖지 않으면 내 안에서 자생적으로 우러나오는 것들을 못 건져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헬렌켈러가 이렇게 말했죠. 내가 대학총장이라면 눈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에 대한 필수과목을 만들겠다고. ‘How to use your eyes(당신의 눈을 사용하는 법)‘, 이것은 결핍된 사람의 지혜입니다. 우리가 못 보는 이유는 우리가 늘 볼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결핍이 결핍된 세상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덟 단어 -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헬렌 켈러가 이렇게 말했죠
내가 대학총장 이라면 눈을 어떻게 써야하는지에 대한 필수과목을 만들겠다고.
How to use your eyes 이것은 결핍된 사람의 지혜입니다.
우리가 못 보는 이유는 늘 볼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결핍이 결핍된 세상 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로시의 노란 길이 아름다운 건홀로 대단한 무엇인가를 이루어서가 아니라 옆에 있는 누군가와보폭을 맞춰 함께 걸어가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사랑한 소녀들 - 캔디부터 삐삐까지 다시 만난 ‘어린 나’의 그녀들
최현미.노신회 지음 / 혜화1117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읽고 본 이야기는 우리 존재의 출발점이자 바탕인어린 나를 만든다. 그리고 이들 주인공은 ‘나와 함께 커나간다.
세상의 모든 것이 아는 만큼 보이고, 이치를 깨우친 만큼 의미를 갖듯 우리가 사랑했던 주인공도 그렇다. 덮인 책 속에 화석처럼가만히 박혀 있지 않고 마음속에서 ‘나‘와 함께 자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