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이 우리에게 자신을 돌보라고 강요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건강한겁니다. 철학자 칸트는 무언가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자유가 우리를 인간으로 만든다고 말했습니다. 몸이 허락하는 한 이 자유를 만끽하세요
자기 몸을 적으로 간주하고 끊임없이 그에 맞서 싸우는 일을 그만둘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진짜 기적일 겁니다. 우리는 주름에, 흰머리에 체중에 맞서 싸웁니다. 자기 파괴를 그치는 순간 자기 치유는 시작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엇이 진정한 창조인가 생각해봐야 할 때입니다. 새로운것을 만들어내려고 하기전에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더 자유로워지고 편안해질까를 고민해야 합니다. 그런 고민을 바탕으로 한 창조만이 오랜 시간 생명력을 가지고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며 세상을 바꿔나갈 테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초의 기술이나 최고의 기술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영향력입니다. 구텐베르크의 인쇄기, 아이폰, 한글의공통점은 존재하는지도 몰랐던 대중의 욕구를 발견해 충족시켰다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이 보다 쉽게 소통할 수 있게 해주었죠.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처럼 인간의 자유를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되는행위는 결국 역사에 큰 자취를 남길 수밖에 없어요. 아이폰 또한 인간의 삶을 변화시킨 기술로 후대에도 오랫동안 회자될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국 수다의 기회가 줄어든다는 것은 우리가 대부분의 대화를 정해진 목표를 수행하는 일, 준비된 메시지를 옮기는 과업에 종속시키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날의 수다에 참여한 누군가는 " 항상 목표가 분명한 말을 하다 보니, 목표가 없는 상황에서는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고백했다.
러시아 문학 연구자 김수환은 자신을 기쁘게 하는 대화에는 "머뭇거림이 있는 말"이 가득하다가 했다. 그런 말은 얼굴을 마주한 사람 앞에서, 바로 그 자리에서 즉석으로 생각나고 하고 싶은 말이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회학자 제프리 골드파브는 ‘작은것들의 정치’에서 전체주의에 저항한 시민혁명은 때때로 미시적인 상황들, 예컨대 "저녁식사, 서점,시낭독회" 에서 시작했다고 주장한다.
혁명 같은 거창한 사건이 아닐 수도 있다. 나는 최근 들어 화초를 키우기 시작했다. 새로운 취미를 시작하겠다는 작심은 없었다. 그저 집안에 초록이 있으면 좋겠다는 정도였다. 그런데 아침에 화초를 들여다 보면 뭔가 조금씩 변한 것들이 눈에 띄었다. 어떤 녀석은 새잎이 돋았고, 어떤 녀석은 줄기가 조금 길어졌고..... 나는 화초 덕에 거창하게 말하면 ‘생명’을 재발견하게 되었다.
매일 아침 생명체의 생명력을 확인하며 일희일비한다. 내게는 아침을 맞는 완전히 새로운 방식이다. 나는 아침마다 전날과 오늘의 미세한 차이를 발견하려고 애쓰고 있다. 그 차이는 나 아닌 다른 존재의 변화와 내 마음의 변화 모두에 관한 것이다. 무언가 변하면 내가 변한다. 그것이 좋은 쪽으로 변하면 내가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