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영화 시상식이 끝나면 수상 소감이 화제가 되곤 한다.
별로 듣고 싶지 않은 인맥 채굴용 나열이거나,자신의 위대함을 과시하는 연설이 주목받진 않는다. 대신에 연단을 함께해야 할 투쟁의 장으로, 공동의 장소로 만드는 힘을 발휘하는 연설이 돋보인다.
가령, 널리 회자되고 기억되는, 2017년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배우 메릴 스트립이 한 수상 소감 같은거다. 그녀는 트럼프가 장애인 기자를 흉내 내며 비하한 것에 대해 "힘을 가진 사람이 다른 사람을 괴롭히는데에 그 힘을 사용하게 되면 우리는 모두 패배하는 것입니다" 라고 강하고 우아하게 비판했다.
또한 메릴 스트립은 깊은 자기 성찰과 역할에 대한 신념으로 빚어진 최고의 연기를 보여 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상적 환경에서 우리의 행동은 더 이상 폭력성을 노골적으로드러내지 않는다. 하지만 인간의 존재 자체는바뀌지 않는다.
인간에게 ‘본래의 특성‘이란 없다. 인간은자신을 둘러싼 사회가 지향하는 곳을 향하여 나아간다.
우리의 행동도 본질에서는 사회적 기준을 이행하려는 노력의 일부다. 하지만 최고의 예절은 언제나 진심에서 우러나와야 하는 법이다.

본질은 다른 사람을 제대로 배려하려는 마음에 있다.
그러므로 진정한 문명과 진정으로 문명화된 몸가짐은 규칙과 본보기를 기계처럼 따르는 것이 아니라, 근대의가장 중요한 도덕가인 임마누엘 칸트 Immanuel Kant가 말한대로
‘인간 스스로 초래한 미성년의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즉, 자신의 건전한 오성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하고, 결정한 바를 실천하는 사람이 문명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서브컬처 안에서 바람직한 행동이란 특정한 사회적 요소에 의해 규정되는데, 그 요소는 유행이나 생활 양식, 문화적 배경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이데올로기적 세계관일 수도 있다. 오늘을 사는 우리 각자에게는이런 집단의 행동을 관통하는 코드를 알아내는 것이 하나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루소가 오늘날까지 살아 있다면, 아마 SNS 친구가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그는 다른 사람의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지 않을 것이다. 루소도 자기 중심성이 강한 인물이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유럽의 대도시 행인들을 배경으로 셀카봉을 치켜들거나, 끊임없는 ‘현재 상태‘ 업데이트로 자신의 우수성을 세계만방에 알리려고 애쓰지는 않을 것이다. 대신 인간의 나르시시즘과 문명의 퇴보에 대해 냉소적인 코멘트를 날릴 가능성이 높다. 루소의 눈엔SNS 프로필과 태양왕의 궁전 사이에 큰 차이가 없어 보일 것이다. 파우더와 향수, 외형적 예의범절 아래에 사람의 본모습을 숨기기는 매일반이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스 철학자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는 1750년 《과학과 예술론》에서 이미 비슷한 관찰 결과를 내놓았다. 루소는 과학과 예술은 인류에게 아무런 소용이 없다고 주장했는데, 그 까닭은 그것들은 인간의 욕망이 아니라 자존심과 명예욕만을 충족시키기 때문이라고 했다. 물질적 성장은 진정한 우정을 파괴하고 그 자리 를 질투와 공포, 불신으로 채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