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의 세상은 이전과는 확연히 다를 것이다. 성장은 멈추고 관계는 멀어지면서 단절과 소외의 시간이 길어지고 불안감은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 변화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삶의 돌파구를 찾기 위한 영감은 어디서 얻어야 할까. 그 물음에 답을 주는 것이 바로 인문학이다.
-알라딘 eBook <퇴근길 인문학 수업 : 뉴노멀> (김경미 외 지음, 백상경제연구원 엮음) 중에서
디지털 세계의 두 번째 특징은 한계비용marginal cost(생산물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할 때 들어가는 총비용의 증가분) 제로 상태다. 디지털 상품의 경우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해도 양이 줄지 않고 품질이 저하되지 않는다.
-알라딘 eBook <퇴근길 인문학 수업 : 뉴노멀> (김경미 외 지음, 백상경제연구원 엮음) 중에서
디지털 상품의 검색, 복제, 전송 비용이 줄어들면서 예상하지 못했던 경제 효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첫째, 누군가를 추적하는 비용이 크게 줄었다. 둘째, 신뢰 등 무형의 가치를 검증하는 비용이 저렴해졌다. 이 두 가지 효과는 경제 영역은 물론 우리의 일상까지 크게 바꾸어놓았다.
-알라딘 eBook <퇴근길 인문학 수업 : 뉴노멀> (김경미 외 지음, 백상경제연구원 엮음) 중에서
다른 이의 평가 따위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실력이 뛰어나다면 상관없겠지만, 스스로를 평범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면 한 번쯤 포털 사이트에서 자신의 이름과 이메일을 검색해보길 권한다. 만약 검색된 당신의 모습이 썩 만족스럽지 못하다면 좀 더 깔끔하고 재미난 모습으로 변신해보는 것도 좋겠다.
-알라딘 eBook <퇴근길 인문학 수업 : 뉴노멀> (김경미 외 지음, 백상경제연구원 엮음) 중에서
신권력의 문제점도 드러났다. 신권력이 주류가 된 세계에서는 실제 일어난 일보다 개인적인 신념이나 감정이 여론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종종 벌어진다. 재미없는 진실보다는 감정을 동요시킬 만한 흥미로운 거짓이 더 큰 영향을 발휘하는 ‘탈진실post-truth’의 세계에서 우리는 옳다고 생각하는 가치를 지켜갈 수 있을까.
-알라딘 eBook <퇴근길 인문학 수업 : 뉴노멀> (김경미 외 지음, 백상경제연구원 엮음) 중에서
콘텐츠의 조회 수와 시청 시간에 따라 창작자에게 수익을 배분하는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의 등장은 가짜 뉴스가 범람하는 최근의 세태와 결코 무관하지 않다. 동영상 콘텐츠로 돈을 벌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가짜 뉴스란 비용 대비 효율성이 아주 높은 성공적인 아이템 중 하나다.
-알라딘 eBook <퇴근길 인문학 수업 : 뉴노멀> (김경미 외 지음, 백상경제연구원 엮음) 중에서
약한 유대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외로움이나 소외감으로 불안에 떤다. 그리고 이 같은 불안감은 스마트폰 중독이나 포모증후군Fear of Missing Out(고립공포감)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포모증후군이란 놓치거나 제외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한다. 특히 SNS에서 자신만 도태되는 것은 아닌지 불안해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울 정도로 SNS에 더욱 매달리게 되는 상황을 뜻한다.
포모증후군의 치료법은 역설적이게도 인터넷 혹은 SNS 사용을 줄이는 ‘디지털 디톡스’다. SNS에서 맺어진 관계가 우리 삶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 커질수록 이런 고립공포감은 계속될 수밖에 없기에 온라인 세상에 의존하는 일 자체를 줄여야 하는 것이다. 온라인 세상에서 맺어진 관계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현실 세계의 친구들이다. 현실 세계의 친구들과 함께 한바탕 어울린다면 스마트폰이 손에 쥐어져 있지 않은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불안감을 떨칠 수 있다.
-알라딘 eBook <퇴근길 인문학 수업 : 뉴노멀> (김경미 외 지음, 백상경제연구원 엮음)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