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을 기다리며
시몬 베유 지음, 이창실 옮김 / 복있는사람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젊은 시절, 시몬 베유는 내게 영혼의 채무였다. 살갗이 벗겨진것처럼 세상의 아픔과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사람의 존재는 충격 그 자체였다. 어정잡이로 살고 있다는 자각이 들 때마다 그녀의 모습이 떠올랐다. 다른 이들이 겪는 고통이 살과 영혼 속에 각인되어 자신을 노예라 여기는 사람, 불행으로 인해사물화된 사람을 사랑과 관용으로 대해 인간의 상태로 되돌리고자 하는 사람, 가장 깊은 신의 사랑이라는 본질에 당도하기위해 자기를 몰아대면서도 결코 섣부른 위안으로 도피하지 않는 사람, 그리스도께 사로잡혔으나 더 큰 세계와 접촉하기 위해 종교의 틀 속에 들어가기를 꺼리는 사람, 세상의 혼돈에 마음 아파하면서도 눈을 들어 그리스도를 바라보는 사람. 시몬베유는 그런 사람이었다.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넘어가는 문턱이었던 겨울,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깊이 고민하던 시기에 베유의 급우인 시몬페트르망이 쓴 『불꽃의 여자, 시몬 베유』를 통해 그녀를 만났다. 자주 새벽을 넘겨 책을 읽던 그 겨울에 베유가 사랑해 마지않았던 조르주 베르나노스의 어느 시골 신부의 일기』를 만났고,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 빠져 있었다.
그들은 서로 닮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지만, 그들 모두는 한 소년에게 삶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는 인간의 고통, 신의 사랑, 은총의 현존이라는 것을 각인시켰다. 그 겨울을 보내고, 인생이이전과 같을 수 없음을 느꼈다고 기억한다.

주의력과 기다림으로 신의 사랑에 응답하는 사람만이 자기중심주의와 불의함과 감정의열광에서 자유로워져, 온전하고 순수한 사랑과 우정을 타인과나눌 수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

인간이 자신을 잊고 신을 향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신앙을 갖지 않은 나에게 이 책은 신앙에 대한 지극히 성스러운 답변으로 읽힌다. 눈을 가리는 감정을 걷어 내고 홀로 존재할 것. 선을 위해 자신을 내맡길 것. 삶의 고통마저도 기꺼이 받아들일것. 겸손한 마음으로 완전한 주의를 기울일 것. 시몬 베유는 철학자이자 정치가로서 이 모든 결단을 스스로 고민하는 지성이기도 했다. 2차 세계대전의 소용돌이 가운데 자신의 사상을 전개했기 때문일까. 집단적 경험을 경계하면서도 초월적인 신의섭리에 따르고자 했던 베유의 치열한 고민과 경건한 마음이 느껴진다. 가장 인간다운 방식으로 가장 성스러운 삶을 살았던한 인간, 수많은 ‘주의‘ 속에서 신을 소명으로 삼았던 한 인간의 기록을 읽는 동안 독자는 순수한 단독자로 돌아갈 것이다.

1) 기다림. 가장 소중한 선은 우리가 찾아야 하는 것이아니라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 인간은 그것을 자신의 힘
으로는 발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것을 찾아 나서는 순간 우리는 가짜 선을 찾게 된다.

2) 주의력. ‘주의를 기울임‘은 가장 고차원적인 노력이다.
그러나 의지의 노력이 아니라, 우리가 마주치는 것들에자신을 여는 행위다. 즉 타자에게 열린 상태가 되는 것인데, 그때 영혼은 자신을 비워내고 그 타자를 있는 그대로받아들인다. 불행한 자가 이 세상에서 필요로 하는 건 바로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여 줄 수 있는 사람이다. 고통받는 자에 대한 관심이야말로 기적이다.

3) 고통과 불행. 히브리인들의 관점에서 죄는 고통이고덕은 번영이다. 그렇다면 야훼는 지상의 아버지이며 하늘에 계신 아버지가 아니다. 즉 가짜 신이다. 그러나 그리스도교는 노예들을 위한 종교이며, 노예들은 그 종교를 신봉하지 않을 수 없다. 악과 불행 (다시 말해 중력)은 역설적으로 신의 존재를 증명해 준다. 신은 자신이 힘을 미칠 수있는 그 어디에서도 명령하지 않기로 하신 것이다

4) 악. 신께서 육화를 통해 희생에 동의하지 않았다면, 십자가를 통해 노예의 조건을 짊어지지 않았다면 창조는 하나의 우발적인 사건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는 악을 증거로 내세우며 이 삶이 가치 없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이 세상이 의미 없는 것이라면, 악과 인간이 당하는고통도 의미가 없다. 그렇다면 세상에서의 삶 역시 하나의 오류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리스도가, 그와 함께했던 이들이 하느님이라 고백한 그분이 우리의 고통을 직접겪으셨다는 사실은, 이 고통이 무의미하지 않음을 말해준다.

다시 말해 베유에게 진리는 현실과의 접촉이다. 이 세상이야말로 우리에게 가능한 유일한 현실이라는 것, 우리가그 모든 가공할 일들까지 포함해 그 현실을 사랑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결국 가상의 무언가를 사랑하게 될 것이분명하다는 것. 그녀는 종교를 마음의 위안이나 미래에있을 보상으로 삼는 것을 신성모독적인 자기기만이라고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