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봅니다 - 이정모 선생님이 과학에서 길어 올린 58가지 세상과 인간 이야기
이정모 지음 / 오도스(odos)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발견은 열대 비숲이 지구온난화에 반응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모델을 바꾸었다. 아마존의 비숲이 1년 내내 초록빛잃지 않고 지구의 허파 노릇을 할 수 있는 까닭은 건기에광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이파리, 더 튼튼한 이파리로 무장해서가 아니라, 힘든 시기가 오면 늙은 이파리를 떨궈내고 그 자리에 신록의 이파리들을 틔우기 때문인 것이다.

그런데 놀랄 일이 또 있다. "아닙니다. 2등성입니다?? 북반구에 살고 있는 모든 이들, 태평양과 대서양 그리고 인도양을 건너던 모험가들에게 방향을 알려주는 지표였던 북극성은 당연히 하늘에서 가장 빛나는 별이어야 하는데 1등성이 아니라 2등성이란다. 실망의 연속이다.

별의 밝기는 0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처럼 등급을 매긴다. 숫자가 작을수록 밝은 별이고 각 등급 사이의 밝기 차이는 약 2.5배다. 그러니까 0등성과 5등성은 밝기 차이가 대략 100배가 난다. 0등성과 1등성은 합해서 21개뿐이다. 가장쉽게 찾을 수 있는 북극성이 속한 2등성은 50개 정도다. 3등성도 150개뿐이다. 그러니 0~3등성은 우리가 맨눈으로 볼수 있는 별 가운데 밝기가 상위 10퍼센트에 해당하는 것이다. 북극성이 2등성이라는 사실에 만족하자.

더 중요한 사실이 있다. 0등성이니 5등성이니 하는 것은모두 우리가 보기에 그렇다는 것이지 실제 밝기와는 아무런상관이 없다. 아무리 밝은 별이라도 멀리 있으면 어둡게 보이고 아무리 어두운 별이라도 가까이 있으면 밝게 보이는 것이다. 오리온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리겔과 네 번째 밝은별인 민타카는 모두 흰색 별이다. 표면 온도가 같은 별이라고 보면 된다

가까운게 밝게 보인다. 당장 밤하늘을 보시라. 가장 밝은천체는 달이다.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는 금성과 화성 같은행성이 훨씬 밝게 보인다. 아무리 밝은 별도 멀리 있으면 흐리게 보인다. 별도 아닌, 행성도 아닌 달도 가까이 있어서 밝게 보인다.
혹시 삶의 지표가 되는 북극성 같은 인물이 있는가? 사실별 볼 일 없는 사람일 수도 있다. 그저 나와 가깝기 때문에 그렇게 느껴지는 것이 아닐까. 시대가 바뀌면 북극을 가리키는북극성도 바뀐다. 플라톤 시절에는 코카브가 북극성이었고2,000년 후에는 투반이 북극성이 된다. 우리는 별자리로 방향을 찾아야 하는 양치기나 항해자가 아니다. 우리는 21세기에 살고 있다. 오늘 내 북극성은 누구인가, 어디에 있는가?

화장실에서 볼일을 본 후 손을 씻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왜 안 씻느냐고 물으면 "내 손에 안 묻었잖아"라고 대답한다. 화장실에서 볼일 본 후 손을 씻는 까닭은 뭐가 묻어서가아니라 한두 시간에 한 번씩은 손을 씻어야 하기 때문이다.
손을 씻겠다고 일하다가 화장실에 갈 수 없으니, 이왕 화장실에 간 김에 손을 씻자는 것이다. 손을 씻을 때 30초는 씻어야 한다. 손을 씻으면서 생일 축하 노래나 동요 <비행기>를두 번 부르면 된다.

의사들은 자신만을 위해 손을 씻는 게 아니다. 우리가 손을 씻는 것 역시 나만을 위한 게 아니라 가족과 이웃 그리고우리의 반려동물을 위해서다. 우리는 손을 씻어야 한다. 왜?
호모 사피엔스니까. 큰 뇌와 깨끗한 손은 동전의 양면이다.
무릇 만물의 영장이라면 손을 씻자. 항상 기뻐하면서, 쉬지말고, 범사에 기도하듯이 손을 씻자. 아예 더 나가서 1년 중어떤 주를 ‘세계 손 씻기 특별 주간‘으로 정하면 어떨까?

자기 선생님의 칭찬을 들은 심플리치오는 살비아티에대한 호감지수가 높아졌다. 이때 살짝 상처를 준다. "그런데말입니다. 제가 망원경으로 달을 봤어요. 그런데 그림자가있더라고요. 그림자가 있다는 뜻은 뭡니까? 높낮이가 있다는 뜻이잖아요. 저도 아리스토텔레스 선생님처럼 천체들은매끈하다고 생각하지만 적어도 달만큼은 쟁반처럼 매끄러운것은 아닌 것 같아요?" 자기 의견을 피력한 다음에는 다시 칭찬으로 마무리한다. "그래도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 선생님에게 배울 게 많아요. 그의 제자가 되고 싶어요"라고 말이다.

‘정리-칭찬-공격-칭찬‘은 이후 과학자들의 대화법이 되었다. 정리는 상대방의 뜻을 오해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이고 칭찬은 그의 업적을 인정한다는 뜻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격할 요소가 있었고, 또 그럼에도 불구하고당신은 훌륭하니 같이 잘해보자는 뜻이다.
그런데 이 방식이 굳이 과학자의 대화법으로만 그쳐야 할까? 길거리에 널려 있는 플래카드에서 그리고 시사 토론 프로그램에서 격조 있는 표현과 대화를 보고 싶다. 조금만 더명랑한 사회를 만들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