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애하는 슐츠 씨 - 오래된 편견을 넘어선 사람들
박상현 지음 / 어크로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성인에 관해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여자의 몸으로 태어났으면 여자, 남자로 태어났으면 남자 아니냐"고 말한다. 그런데 남자의 몸과 여자의 몸을 가르는 기준은 다양하다. 우리가 아는 대표적인 방법이 눈으로 생식기를 확인하는 방법과 성염색체(XX,
XY)를 통해 확인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안드로젠 무감응 증후군(AIS)을 가진 사람들은 생식기의 종류와 성염색체가 일치하지 않는다. 물론 AIS 외에도 다른 여러 요인들이 간성을 만들어내지만결과적으로 이 사람들은 갖고 태어난 몸‘이 사회가 생각하는 남녀 이분법으로 편리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세상에 이런 사람들은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많아서 전 세계 인구의 1.7퍼센트에달한다. 남한의 인구보다 많고 독일 인구보다 조금 적은 숫자다.

운동은 누구나 할 수 있다. 하지만 큰돈과 명예를 얻는 엘리트스포츠는 뛰어난 신체적 조건을 타고난 사람들 사이의 경쟁이다.
그리고 ‘좋은 신체조건‘에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남성 호르몬도포함된다. 단, 그 선수가 여성이라면 예외다. 여성이면서 남성 호르몬이 많이 나오면 출전 자격이 박탈된다. 그게 캐스터 세메냐가 마주한 현실이었다. 요약하면, 남자가 여자 종목에 몰래 들어와서 경쟁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성별을 확인하는 절차를 만들었는데, 과거에는 단순한 이분법으로 생각했던 성이 살펴볼수록 복잡해서 칼로 자르듯 구분되는 것이 아니었다. 연구를 해보니 외부에 드러난 생식기도 성염색체도 여성과 남성을 구분해주지 못한다는 결론에 도달한 것이다.

육상연맹은 세메냐가 참여할 수있는 길을 열어놓았다. 호르몬제를 복용해서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경기 6개월 전부터 낮추면 된다는 것이다. 이 결정이 가진 아이러니는 다른 선수들은 호르몬제를 포함한 약물을 복용하지 못하도록 철저하게 막는 반면 세메냐와 같은 간성의 선수들은 오히려 약물을 복용하지 않으면 경기에 참여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과학적인 근거를 이야기할 때는 그럴듯하게 들리지만 그렇게 도출된 결론을 보면 결국 세메냐를 비롯한 간성인을 ‘잡아내기‘ 위한 조치처럼 보이는 게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