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데부 - 이 광막한 우주에서 너와 내가 만나
김선우 지음 / 흐름출판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을 그리는 일이 즐겁지 않았어."
학교를 졸업한 후 빨리 작가로 인정받기 위해 성급하게 그림을 그려냈고, 그것들이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오로지 외부 세계를 위한 ‘적당하고 착실한‘ 그림들이었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
그녀는 바로 활동을 접고 작업실에 틀어박혔다고 말했습니다.
"내가 그릴 다음 그림이 나 스스로도 궁금하지가 않았어. 이러다가는 작가로서의 수명이 곧 끝날 것 같았지."
자신만의 방식과 거기에 적합한 표현 방법을 찾아내기까지
‘증발‘할 수밖에 없었고, 수많은 방황과 실험의 시간을 거치고 나서야 겨우 다시 세상에 나올 용기가 생겼다고, 그녀는 담담하게털어놓았습니다.

‘증발‘ 이후 열리는 그녀의 두 번째 개인전 작품들을 보고 저는 약간의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녀의 작품 속 소녀와 풍경들이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생기가 넘쳐 보였습니다. 그림에서는 작업의 고단함보다는 작가가 느꼈을 창작의 즐거움이 고스란히 느껴졌습니다. 전시의 타이틀이 무엇이냐고 물었더니, ‘서툰 행복‘
이라는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가장 좋아하는 일이 직업이 된다는 건 그 일이 더 이상 개인적인 취미의 영역에 머물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현대사회에서 정의하는 ‘직업‘이란, 좋게 포장하더라도 결국 생존과 직결되어 있습니다. 외부의 무수한 평가 속에서 납득 가능하고 타당한 책임을 담보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좋아하는 것과 인정받는 것, 직업인으로서 예술가의 딜레마는 꽤나 복잡합니다.

"보는 사람들도 행복했으면 해."
저는 그 서툰 대답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얼핏 상투적인 표현처럼 들릴 수도 있었지만, 그녀의 그 짧은 문장에는 어둡고 긴 터널을 통과해본 사람만이 꺼낼 수 있는 친절함과 따스함이 담겨있었습니다. 비로소 밝은 햇살을 마주했을 때의 기쁨을 사람들과공유하고 싶어 하는 그녀의 진실한 마음을 저는 느낄 수 있었습니다.

‘예술 행위란 어차피 처음부터 ‘불건전한 반사회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 존재 근본에 있는 ‘독소‘와 같은 것이표출되어 나올 수밖에 없고, 그것을 솜씨 좋게 처리해내는 종류의 직업을 가진 사람이 바로 작가입니다."
다시 말해, ‘독소‘가 내재되지 않고는 참된 의미의 창조 행위를 수행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하루키는 그 ‘독소‘에대항할 수 있는 행위로 달리기를 포함한 철저한 루틴을 선택했습니다. 그것은 그 어떤 방법론보다 쉬우면서 동시에 어렵고, 가장 효율적이고 만족감을 주는 행위였던 것입니다. 적어도 하루키본인에게만은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