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일간지 《르 피가로>를 창간한 이폴리트드 빌메상Hippolyte de Villemessant은 정보의 본질을 다음의 한 문장으로 정리했다. "우리 독자들은 마드리드에서 일어난 혁명보다 파리 라틴 숙소에서 일어난 지붕 화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인다.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은 이를 더욱 구체화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더 이상 멀리서 오는 지식이 아닌, 바로 다음에 일어날 일의 단서를 제공하는 정보만이 공감을얻는다." 신문 독자들의 관심은 코앞에 놓인 것 이상을 벗어나지 않는다. 그들의 관심은 호기심거리로축소된다. 근대의 신문 독자들은 시선을 멀리 두고 머무르는 대신, 하나의 뉴스거리에서 다른 뉴스거리로관심을 이동시킬 뿐이다. 길고 느리게 머무르는 시선은

정보는 인식의 순간 이후 더는 살아 있지 못한다. "정보는 그것이 새로운 동안에만 가치 있기 때문이다. 그 순간에만 살아 있다. 오로지 순간의 시점에사로잡히며 정보 그자체에 대해 설명할 시간은 없다.

정보와 달리 지식은 그 순간을 넘어서 앞으로 다가올 것과도 연결되는 시간적 폭이 있다. 그래서 지식은 이야기로 가득하다. 지식 안에는 서사적 진폭이 내재해 있다.
정보는 새로운 것을 찾아 세상을 샅샅이 뒤지는리포터의 매체다. 이야기하는 사람은 그 반대의 일을 한다. 이야기하는 사람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이야기하기의 예술은 정보를 내주지 않는 것이다. "이야기를 그대로 재현함으로써 설명으로부터 자유롭게 만드는 것이 이미 이야기하기 예술의 절반을 완성한다." 내주지 않는 정보, 즉 빠져 있는 설명이 서사적 긴장을 고조시킨다.

이야기에는 경이롭고 의미심장한 무언가가 있다. 이들은 은밀한 것에 반대되는 정보와 결코 조화를 이룰 수 없다. 설명과 이야기는 상호 배타적이다.
"매일 아침이 세상 만물의 새로움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그럼에도 우리에게는 기억할 만한 이야기가부족하다. 왜일까? 설명이 들어가 있지 않은 일은 더이상 우리에게 도달하지 않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벌어지는 거의 모든 일이 이야기가 아니라 정보에 사용되기 때문이다."

벤야민에 따르면 이야기는 ‘모든 걸 내보이지않는다.‘ 이야기는 ‘그 힘을 내면에 모은 채 보전하다가 오랜 시간이 지난 뒤에도 다시 펼쳐낼 수 있는것‘이다. 반면 정보는 완전히 다른 시간성을 보인다.
정보는 좁은 최신성의 폭 때문에 매우 빠르게 소진된다. 정보는 오로지 찰나의 순간에만 작동한다. 영구한 발아력을 지닌 씨앗이 아닌, 티끌이나 다름없다. 정보에는 발아력이 결여되어 있다. 한번 인식되고 나면, 이미 확인을 마친 부재중 메시지처럼 무의미성 속으로 침잠한다.

전체 삶의 기록화에서 아무것도 탈락되어서는 안 된다. 이때는 아무것도 이야기되지 않는다. 모든 것이 그저 측정될 뿐이다.
센서와 앱은 언어적 표현과 서사적 성찰 없이 자동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그래픽과다이어그램으로 보기 좋게 요약된다. 그러나 이들은내가 누구인가에 대해 이야기할 수 없다. 자기는 양이아닌 질이기 때문이다. ‘숫자를 통한 자기 이해‘는 신화 속 키마이라와 같다. 이야기만이 자기 인식에 도달할 수 있게 해준다. 나는 나 자신이 이야기해야 한다. 그러나 숫자는 아무것도 이야기하지 못한다. ‘수치적서사‘라는 표현은 모순이다. 삶은 정량화가 가능한 사건들로는 이야기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