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인간 문화의 얼기설기 얽힌 강 둔덕의 기원과 인간 마음mind의동물적 뿌리에 대해 탐구한다. 인간을 둘러싼 이야기 가운데 가장 어려우면서도 신비한 측면, 즉 진화의 과정을 통해 인간이 어떻게 다른 동물들과완전히 다른 종이 되었는지에 대한 하나의 설명을 제시할 것이다. 이는 우리 조상이 어떻게 개미와 덩이줄기, 견과류로 연명하던 유인원에서 교향곡을 작곡하고, 시를 낭독하며, 무용을 하고, 입자가속기를 설계하는 현대인으로 진화했는지와 관련 있다. 하지만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협주곡은자연선택의 법칙에 의해 진화하지 않았으며, 우주정거장은 다윈적인 투쟁의 기근과 죽음으로부터 등장하지 않았다. 컴퓨터와 아이폰을 디자인하고 개발한 남성과 여성들이 다른 직업을 가진 이들보다 더 많은 아이를낳은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법칙이 기술의 끊임없는 진보와 다양화, 예술의 유행을 설명할 수 있을까? 문화적 형질들 간의 경쟁으로 인해 행동과 기술의 변화가 발생했다는 문화적 진화 이론cultural evolution.23 먼저 복잡한 문화를 발생시키는 마음이 어떻게 진화할 수 있었는지를 밝혀야 비로소 만족스러운 설명이 될 것이다. 하지만 책의 후반부에서 드러나듯이, 인간 종

그렇다면 어떠한 법칙이 기술의 끊임없는 진보와 다양화, 예술의 유행을 설명할 수 있을까? 문화적 형질들 간의 경쟁으로 인해 행동과 기술의 변화가 발생했다는 문화적 진화 이론cultural evolution.23 먼저 복잡한 문화를 발생시키는 마음이 어떻게 진화할 수 있었는지를 밝혀야 비로소 만족스러운 설명이 될 것이다. 하지만 책의 후반부에서 드러나듯이, 인간 종

이 책이 논증하다시피, 우리 종의 특별한 성취는 문화에 대한 우리의특별히 강력한 능력 덕분이다. 여기서 ‘문화culture‘는 공유되고 학습되는 지식의 광범위한 축적과 시간에 따른 기술의 끊임없는 개선을 의미한다."
때로는 인간 종의 성공이 우리가 똑똑하기 때문이라고 설명되지만, 사실우리를 똑똑하게 만드는 것은 문화다. 물론 지능이 관련 없지는 않지만,우리 종을 고유하게 만드는 것은 우리의 통찰력과 지식을 한데 모으고 각자의 해결책 위로 새로운 해결책을 누적해 나아가는 능력이다. 어떠한 새로운 기술도 어느 외로운 발명가가 홀로 찾아낸 것이 아니다. 사실상 모든혁신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기술을 재가공하거나 개선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가장 간단한 인공물을 예로어야 할 텐데, 우주정거장과 같은 것을 한 사람이 발명한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불가능해 보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