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사는 일, 힘들고 불편하다.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는 일을비판하기는 쉽고, 자신이 직접 쓰레기를 줍는 일은 힘들다. 이웃은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편리를 위해 차를 끌고 오기는 쉽고, 이웃에 폐를 끼치지 않으려고 걷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불편하다.
이웃 사랑을 말하기는 쉽다. 그것을 실천하려면 반드시 일정 정도의 불편과 노고를 감당해야 한다. 일회용 물건을 쓰기는 쉽지만 그것을 쓰지 않으려면 자신만의 컵을 가지고 다니는 등의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기능적인 일은 쉽다. 사람의 본바탕이 작동하는 일은어렵고 불편하다. 대답은 기능적 활동이고 질문은 그 사람에게만있는 내면의 호기심이 발동하는 인격적 활동에 속한다. 당연히 질문은 어렵고 대답은 쉽다. ‘따라하기‘는 쉽고 창의가 어려운 이치다. 사람은 쉬운 쪽으로 쉽게 기울게 되어 있어 질적인 상승이 더디다. 그래서 제대로 사는 일은 언제나 어렵기만 하다.
간단히 정리하면, 인간으로서 제대로 사는 일은 스스로 불편을자초하는 일과 같다. 불편의 최고단계인 ‘장애‘의 지경으로까지 끌고 가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다양한 수행의 모든 과정은 사실 ‘불편‘한 것들로 짜여 있다. ‘장애‘를 내면화하여 그것과 일치되는 경험을 유도한다. 불편과 장애와 한 몸이 되는 단계에서 인간의 본바탕이 구출되곤 한다. 편하고 자극적인 기능에 갇히지 않고 ‘장애‘
상태를 자초하면서 성숙은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