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소음 한가운데서 그 심장 박동은 한결같다. 그리고 귀를기울이는 이에게는 그때보다 감지하기가 더 어렵지도 않다. 어쩌면참으로, 우리가 쓸데없는 것들로 더욱 시끄럽게 그 박동 소리를 압도할수록, 그 심장 박동은 더욱 고요하게, 더욱 끈질기게, 더욱 충실하게 자신을 알리고 있지 않을까.
하나는, 이 책이 삼위일체적 순환의 신비‘를 말하려는 것 같다는점이다. 모든 것은 하느님 아버지에게서 나와 하느님 아버지에게로돌아간다. 그분에게서 사랑이 샘물처럼 솟아 만물을 적시고 흐르며그분에게로 귀환한다. 하느님께서 모든 것 안에 모든 것이 되실 때까지 (1코린 15,28 참조). 그리고 그 중심에 예수 그리스도의 신비가 있다. 성령 안에서 사람이 되신 하느님의 심장이 세계의 중심이다. 온우주가 그분의 몸이다. 심장이 어찌 자기 몸을 돌보지 않거나 사랑하지 않을 수 있으랴. 그러나 이 생명의 흐름과 순환을 가로막고 차단하는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세속성에 대한 풍자와 준엄한 비판도 이 책에서 찾을 수 있다.
또 하나는, 이 책이 ‘모순의 신비‘에 대해 곳곳에서 거듭하여 말한다는 점이다. 이 모순의 신비는 사람이 되신 하느님 아들 안에서신성과 인성이 결합함으로써(위격적 일치) 이로부터 귀결되는 본질적 특성으로, 예수님의 생과 수난, 부활의 전 생애를 관통한다. 곧 "그보다 더 큰 것을 생각할 수 없는 크신 분"(안셀모 성인이 "그보다 더작은 것을 생각할 수 없는 작은 분이 되심으로써, 하느님 아들 안에서 양극단이 곧 무한과 한계, 낮춤과 높임, 권능과 무능, 강함과 약함, 충만과 공허, 하느님 가까이 하느님 멀리가 온전히 매개되고견지되며 무한히 초월된다. 이러한 모순의 일치는 그리스도 안에서남김없이 드러난 하느님의 절대적 사랑 안에서만 가능하다.
여기에 인간 존재가 지닌 ‘모순‘이 있다. 우리는 무한자이신 하느님을 향해 창조되었지만, 그분이 아니라면 한순간도 유지될 수없는 존재이다. 또한 하느님의 은총이 아니라면, 우리는 결코 그분께 도달할 수 없는 존재이다.
그런 역설적 존재인 인간에게 발타사르는 ‘시간‘이 지닌 가능성에 주목하도록 초대한다. 우리가 이 시간 속에서 어떻게 하느님의부르심에, 은총 작용에 응답하는가에 따라, 인간의 유한함은 하느님의 무한함으로 뻗어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얻게 된다. 따라서 ‘시간‘은 우리에게 구원의 손길을 건네는 중요한 장이 아닐 수 없다. 발타사르는 인간이 무한으로 나아가기 위한 비결로 주님의 말씀을 듣는 자세와 우리 자신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는 자세, 그리고사랑을 꼽았다. 더 나아가, 그는 하느님 곁에서 죽고 부활할 때, 비로소 영원한 생명에 이를 수 있다고 전한다. 그렇게 "시간의 비밀스러운 강물에 우리의 몸을 씻을 때" 우리는 무한을 향한 구원의 길로나아갈 수 있다.
그러나 보라. 둥둥 떠다니며 흔들거리는 것, 신비로이 유동하는것이 있으니, 그것은 시간이다. 이편에서 저편으로 가는 보이지 않는 작은 배. 이것에서 저것마다 노 저어 가는 여정. 시간 속으로오르자마자 배는 이미 너를 싣고 출발하고, 너는 어떻게 그러는지, 어디로 가는지 알지 못한다. 네 아래 단단한 바닥은 이미 출렁이며요동치고, 가혹한 물길은 굽이치며 솟구친다. 잘도 휘감아 도는 강물처럼 굽이굽이 흐르기 시작한다. 강기슭이 번갈아 나타나고, 곧이어 배는 숲들을 가로질러 가며 너를 뒤흔든다. 너른 들판들과 인간의 도시들을 연이어 지난다. 물결은 그 자체로 변화무쌍하고 변덕스럽다. 부드럽게 살랑이다가도 금세 성난 폭포처럼 변한다.
시간은 은총처럼 충분히 길다. 시간의은총에 너를 맡겨라. 너는 시간을 끊어 내고 그것을 움켜잡아 어디에든 저장할 수 없다. 그러니 시간이 흐르도록, 달려가도록 두어라. 너는 어떻게든 그것을 붙잡을 수 없다. 아름다운 화음에 쓸어 담아단번에 영원히 소유할 수 없다. 인내는 듣고자 하는 이의 첫 덕성이다. 그리고 둘째 덕성은 내려놓음이다. 보라, 마지막 음이 다 울리기전에는 네가 멜로디의 진동을 앞서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멜로디가 다 울린 다음, 그제야 너는 감추어진 무게와 긴장의 굴곡들과 간격의 굽이들을 조망할 수 있다. 귓속으로 들어간 것이 비로소마음속으로 들어간다. 그리하여, 아니 더욱 그렇게 네가 감각의 다양성 안에서 감각적으로 경험하지 못하면, 보이지 않는 정신의 일체성 안에서도 파악하지 못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