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론적 과학만능주의는 우연적 확률에 기반하는 반면,
유신론은 필연성으로서의 창조주에 기반하여 우주와 생명의 시작을 설명합니다. 무신론적 과학만능주의는 과학으로이 세상의 모든 것을 다 설명할 수 있다는 식으로 과학의 무한한 능력을 강조하는 반면, 유신론은 과학으로 설명할 수없는 영역, 즉 초자연적 영역이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렇듯이 물리학의 가장 중요한 법칙 두 가지를 고려해볼 때 그 법칙들을 활용하는 물리학자들조차도 그 법칙의가장 중요한 부분이 "왜 그러한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못함을 우리는 확인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물리학은 "왜 그러한가?"라는 질문에 답을 하지 못하는 것일까요?

물리학은 ‘이 세상에 시간과 공간이 있고, 모든 물질들은질량과 전하가 있다.‘라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하고서 그 전제위에서 모든 자연 현상들을 설명하려는 학문입니다. 그래서이 세상에 시간과 공간이 있고, 모든 물질들은 질량과 전하가 있다.‘라는 것은 물리학에 있어서는 수학에서 말하는 공리axiom‘와 같은 것입니다. 그래서 시간과 공간의 존재, 질량과 전하의 존재는 물리학이라는 학문의 전제인 것이지, 그존재에 대해서 물리학이 설명해야 하는 대상은 되지 못한다.
는 것입니다.

비록 물리학은 이 세상의 대단히 많은 자연 현상을 잘 설명해 주는 학문이지만, 그러한 현상들이 이 자연에 ‘왜 존재하는지, 왜 그러해야만 하는지, 그 존재의 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설명해 주지 못하는 근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리학을 포함한 과학은 다만 그러한 경험적현상들을 최대한 간단한 개념과 이론과 모델을 통해 기술describe하는 법‘을 우리에게 알려 주는 학문이지 그 현상들이왜 일어나야만 하는지, 왜 존재해야만 하는지를 설명해 주는 학문은 아닌 것입니다.

결국 과학은 스스로 그토록 자랑스러워하는 법칙들조차도 그 법칙들이 ‘왜 그러한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하는한계를 보여 줍니다. 그런데 자신들의 법칙들도 왜 그런지를 설명하지 못하는 과학이 비물질적인 존재에 대해 논하는 신앙 · 종교의 문제에 관해서 제대로 설명을 할 수 있을까요? 신앙적 · 종교적 문제에 대해 과학은 과연 과학만능주의자들이 주장하듯이 의미 있는 설명을 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창세기에서 창조와 관련한 부분을 읽으면 우리는 하느님이 마술사로서 강력한 마술 지팡이를 갖고서 모든걸 끝내셨다고 상상할 위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하느님은 존재들을 창조하셨고 그분이 각각에게 부여하신 내적인 법칙들에 따라서 그것들이 발전해 나가도록 허용하셨습니다. 그래서 그것들은 발전하고 그들의충만함에 도달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오늘날 우주의 기원으로서 제안되고 있는 빅뱅 이론은 창조주 하느님의 개입과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개입에 의존하는 것입니다.

자연 안에서의 진화는 창조에 대한 관념과 갈등하지 않습니다.
진화는 진화하는 존재들의 창조를 전제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교황께서는 진화하는 존재의 ‘창조‘가 전제되어야그 이후의 진화가 설명될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하고계십니다.

어느 순간 ‘창조주 하느님의 창조에 의해 지구상에 생명체가출현하였다. 그 후 그 생명체의 후손들이 오랜 기간의 진화과정을 거침으로 인해 현재 인간을 비롯한 지구상의 생명체들이 형성되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은 진화론을 통해 유신론을 옹호하고계신 것입니다. 바로 이 견해가 교회의 공식적인 입장입니다. 아마 여러분 모두가 이러한 입장을 강력하게 지지하실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활발히 진화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대표적인 학자이자 가톨릭 신자인 하버드대학교의 수리 진화생물학 교수인 마틴 노박(Martin Nowak, 1965년-현재)이 2011년에 한 언론 인터뷰의 내용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내 생각으로는, 진화에 관한 순수한 과학적 해석은 무신론을 선호하는 주장을 만들지 않는다. 과학은 하느님을 부정하거나 종교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다. 중력이 그렇지 않듯이, 진화는 하느님을 거스르는 주장이 아니다.

진화는 지구상에서 생명이 펼쳐지는 것을 설명해 준다. 그리스도교의하느님은 ‘그분이 없으면 절대 진화가 일어나지 않는‘ 분인것이다.

우리가 사는 이세상은 과학으로 설명불가능한 초자연적 세상, 기적으로채워지고 있는 세상이라는 점을 우리는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초자연성이라는 것은 분명히 존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이 기적들은 ‘하느님께서 분명히 계시다!‘라는 점을 우리에게 확실히 보여 주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에게는여전히 신앙이 필요한 것입니다. 21세기 과학 시대에서도 여전히 신앙은 필요한 것입니다.

‘확실certainty‘은 과학의 객관적인 지향점이지만, 확신certitude‘은 과학자들의 주관적인 현실적 태도입니다.
과학만능주의자들의 "그렇다!"라는 응답은 사실 ‘확신‘의영역에 속하는 것입니다. 그들의 내적 확신은 그들이 지닌일종의 믿음, 신념, 더 나아가 ‘신앙‘인 것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과학만능주의의 근간에 있는 이 확신을 ‘비종교적 신앙‘이라고 부르고자 합니다. 따라서 과학만능주의는 일종의
‘비종교적 신앙‘인 것입니다.

분명한 점은, 과학은 "나는 왜 이 세상에 존재하는가?"
등의 존재론적인 질문들에 대해 제대로 답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나는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옳은가" 등 의미론적이거나 윤리적인 질문들에 대해서도 답을 주지 못합니다. 과학은 근본적으로 재현성과 보편성을 기반으로 하지만, 우리가살아가면서 접하는 많은 질문들은 사실 개별적이고 시간이지나면서 답이 변하는 것들이 대다수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현재 과학 시대에 살고 있기는 하지만 과학이 이 세상의모든 질문들 · 현상들에 대해 답을 해 주지는 못하다는 점을인정해야 할 것입니다.

오늘날 과학 시대에 맞는 인간의 태도는 바로 세상을 연구할 수 있을 만큼 많은 것을 아는 힘이 있으면서 동시에 그것들의 주님을 찾아낼 수 있을 만큼 겸손되이 깨어 있는 것이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과학science과 신앙faith 이 십자가의 두 축과 같이우리 삶의 두 축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이렇게 될 때에 우리의 과학은 창조주 하느님 앞에서 겸손해질 수 있게될 것이고, 우리의 신앙은 과학의 도움을 받아 맹목적인 신앙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이 책을 통해 결론적으로 말씀드리고자 한 내용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