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일하게 된 사람들은 더 이상 예전처럼 많은 훼방을 받지 않아도 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회의가 취소되었으나 아무도 아쉬워하지 않았다. 중대한 문제였던 주민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지자체 평가 작업 역시 보류되었지만 봉쇄가 풀려도 이를 다시 묻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사람들은 갑자기 하루치 업무량을 단 두세 시간 만에 완수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모두 뭔가 하느라 늘 바빠보여야 했던 일터에서는 상상할 수 없던 방종, 예컨대 창문을 내다보며 생각을 가다듬는 행동을 해도 괜찮았다. 즉,가짜 노동에는 관중이 필요했던 것이다. 관중이 없을 때우리가 더 이상하지 않아도 되는 일은 너무나 많다.
드러커와 경영학 스승들의 말처럼 지식노동자들은 점점더 빠른 속도로 양산되었고, 현대 회사에 필요한 혁신 업무의 핵심이 되었다. 다시 한번 노동시장은 그럭저럭 이 모든 똑똑한 사람들을 새로운 자리로 흡수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뭔가 좀 이상했다. 궁극적으로 이런 대학과 경영대학원 졸업생들을 위해 맞춤 제작된 많은 일자리가 특정학문의 자질과 지식이 전혀 필요하지 않았던 과거의 일자리와 별반 다르지 않았다. 심지어 드러커조차 이게 문제가 될 수도 있음을 알았다. 1979년 드러커는 지적인 사람들이 지루한 업무를 맡고 나서 자신이 지나친 교육을 받았음을 깨닫게 되는 상황에 우려를 표했다. "대단한 ‘지식인‘이 되리라 기대했던 자신이 일개 ‘직원‘일 뿐임을 알게 되는 것이다."
이 책에서 파울센은 텅빈 노동이 퇴출되고 있다는 징후를 전혀 발견하지 못하겠다고 썼다. 그 반대로 텅 빈 노동은 끈질기게 지속되어 사람들을 지쳐 나가떨어지게 하고 영혼에 상처를입히고 있다. 스트레스는 할 일이 너무 많은 탓에 발생할 수도 있지만 심한 지루함, 보람의 결핍, 무의미한 타성으로도 유발된다. 스트레스는 감옥내수감자와 교통정체에 갇힌 운전자처럼 할일이 아주 적은 상태의 사람들에게도 덮친다. 사실 일시적으로바쁜 기간에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편이다. 스트레스의 축적은 자기 삶을 통제할 수 없다는 느낌과 더 관련 있다. 이것은 아마도 불만족스러운 노동자가 점점 병약해지는 이유, 즉 현대 노동 생활에 드리운 그림자에 대해 설명해줄 것이다.
세상은 너무 복잡해졌다. 우리 모두는 일터에서 하루를 헤쳐나가면서도 실은 얼뜨기라는 걸 들키지 않으려 허세를 부리게되었다. 나는 세상이 매분 매시간 실없는 일을 합리화하려 애쓰는 사람들의 엄청나게 부조리한 노력으로 가득하다고 본다. 스 애덤스, 『딜버트』의 작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