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야. 넌 그런 거 아니야. 너는 봄날의 햇살 같아. 로스쿨 다닐 때부터 그렇게 생각했어. 너는 나한테 강의실의 위치와 휴강 정보와 바뀐 시간표를 알려주고,동기들이 나를 놀리거나 속이거나 따돌리지 못하게 노력해. 지금도 너는 내 물병을 열어주고, 다음에 구내식당에 또 김밥이 나오면 나한테 알려주겠다고 해. 너는 밝고 따뜻하고 착하고 다정한 사람이야. 봄날의 햇살 최수연이야
내비게이션은 상대가 원할 때만 켜야 합니다. 초대받지 않은 조언을 하는 건 적을 만드는 지름길이라는 말도있거든요. 그런데 선배는, 상사는, 윗사람들은 초대한적 없는 후배에게, 부하에게, 아랫사람에게 자꾸만 찾아와서 조언합니다. 물론 아껴서 그러는 것입니다. 잘되기를 바라니까요. 실수하거나 실패하지 않고 좀 더 빠른길로 안전하게 가기를 바라니까 그러는 것입니다. 하지만 켜지도 않은 내비게이션이 작동하기 시작하면 그때부터는 ‘라떼 타임’이 되는 법입니다. "라떼는 말야."
"나는 모든 걸 미룬다." "죽는 날도 미뤄보자!" "나는 다리를 늘 꼬고 있다." ⇒ "네 덕분에 정형외과가 돈을 버네." "물건을 자주 잃어버린다." "많은 사람의 생계를네가 책임지는구나." "나는 잠이 많다." "네 피부가 그래서 좋구나." "나는 너무 충동적이다." "화끈하네." "나는 방 청소를 안 한다." "방에서 보물찾기할수 있어서 재밌겠다." "나는 돈을 아낄 줄 모른다." ⇒ "와, 너 돈 많구나.나랑 친구 할래?"
부장님은 업무를 지시할 직원만 생각하며 말을 하면될까요. 그럼 콩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들을까요. 글쎄요. 저에게 묻는다면 이제 시작이라고 말하고싶습니다. ‘말을 할 때는 누가 듣는지부터 생각해야지‘라고 마음먹은 후에는 그 사람에게 ‘어떻게’ 말을 해야잘 알아들을지 고민해보는 겁니다.
20대 80 법칙,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즐겨 입는 옷의 80퍼센트는 옷장에 걸린 옷의 20퍼센트다. 백화점하루 매상 중 80퍼센트는 그 백화점 단골인 20퍼센트손님이 올린다. 근면하게 일하는 개미는 20퍼센트에불과하고, 이들이 나머지 80퍼센트 개미들을 이끌어나간다. 이런 거요.
토끼 당신은 지금 이 달리기에서 20에 속하는 거예요. 그러니 답답하고 속이 터져도 80인 거북이를 이끌면서 속도 맞춰 함께 가는 수밖에요. 그런데 인생이 꼭그렇지만은 않더라고요. 토끼나 거북이의 생도 그럴거예요. 지금 이 들판에서는 토끼 당신이 유리하지만,바닷속에서 달려야 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상상조차 할수 없겠지요. 벌써 숨이 턱 막히는 것 같지 않나요. 바닷속에서 달리기, 아니 헤엄치기를 한다면 거북이가20, 당신이 80일 거예요. 거북이가 당신을 등에 업고천천히, 하지만 안정적으로 헤엄치며 가겠지요.
세월이 흐르면 토끼 당신이든 당신보다 훨씬 더 빨리 뛰는 얼룩말이든 모두 노인이 된답니다. 노인은 누구나 80이 될 수밖에 없어요. 그 전까지 20으로서 열심히 살아오고 다른 이들을 이끌어온 덕분에, 이제 20이된 젊은 세대가 80이 되어버린 당신을 이끌어줄 거예요. 세상은 그런 겁니다. 그러니 토끼 당신, 거북이를 데리고 경주 같은 거 하지 말고 함께 가면 어떨까요. 불평불만 접어두고 걸어가봅시다. 쉬엄쉬엄, 그렇지만 꾸준히.
이런 걸 ‘자이가르닉(제이가르니크) 효과’라고 한답니다. 완성된 작업보다 미완성 작업을 사람들이 더 잘 기억한다는 사실을 러시아 심리학자 블루마 제이가르니크가 증명해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네요. 일단 작업이 마무리되면 사람들은 더 생각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나 일을 중단한 채로 두면 그 생각이 계속 머릿속을 맴돈대요.
지금 마무리를 미루고 있는 건 당신이 게으르거나무책임해서가 아니라는 말입니다. 90퍼센트는 완성했으나 마지막 10퍼센트를 남겨두고 있다면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밥을 먹든 잠을 청하든 그 10퍼센트는 늘 당신 머릿속에 남아 있으니까요. 고민하고 생각하고 돌아보고 되짚어보고, 그러다 보면 하이라이트가 될 마지막 10퍼센트가 불현듯 떠오를 겁니다. (사실 저도 지금그러고 있어요.)
"신비한 전설의 돌이 있는데, 그 돌을 찾으면 네 앞에 놓고 고통과 비밀을 전부 말하렴. 돌이 들어줄 거야. 어떤 비밀이든 들어줘. 무엇을 말하든 들어주지. 그러다 어느 날 돌이 쩍, 하고 갈라지는 날, 모든 고통이 그순간 사라지고 너는 구원받을 거야. 용서받는 거란다."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들었다던 그 말처럼 여인은의식이 없는 남편을 앞에 두고 날마다 이야기를 합니다. 밖에서는 총성이 들리고 폭탄이 터집니다. 무서우면 더욱더 많은 말을 합니다. 어린 시절 이야기, 언니대신 시집오게 된 이유, 남편이 밖으로 도는 동안 겪었던 시집살이, 두 딸을 키우면서 있었던 일화, 마침내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말까지…. 독백은 고백이 되고, 고백은 구원의 돌이 되어줍니다.
이 영화는 말하기의 힘을 보여줍니다. 혼자였지만, 의식을 잃은 남편 곁에 앉아서 스스로는 혼자라고 느끼지만, 매일 꾸준히 무엇이든 말을 하면서 여인은 자신을 찾습니다. 자아를 회복하고 자존감을 느끼는 거죠. 독백의 힘, 혼자 말하기의 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