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명히 세상이 변해야 나도 살기가편한 게 맞지만, 남의 탓을 하거나 사회구조탓만 하는 것은 좀 무책임한 태도라고 봐요.
내가 원하는 사회가 있다면 ‘나부터’실천하는 것이 책임성 있지 않겠어요?다른 말로 하면, 나 속에서 세상을 실현하고싶다는 개념이죠. 내가 살면서 나를 확장한모습이 세상이 되도록 하면 내가 원하는삶이 곧 사회에 구현되는 셈이죠.
그래서 ‘나부터‘ 할 수 있는 만큼해보자는 생각이죠."

"학력 지향 사회에서는 제일 중요한 것과그다음 중요한 것 등등 위계가 있어요.
그래서 얘는 공부는 못해도인성은 착하니까‘라는 식으로 모든 것을위계 속에 두고 아이들을 바라보죠.
그러나 아이들을 각각 하나의 존재라고생각을 하면 그 존재가 가진 모든 역동성이다 옳은 거잖아요.

영화인의 한 사람으로서 정말 부러운 거는 프랑스가 갖고 있는 영화제도예요. 그들은 조그마한 영화사들이 영화를 계속 만들 수 있게 해주고, 사람들이 자기 동네의 조그만 영화관에서 영화를 볼 수 있게 해줘요.
그런데 우리는 그런 게 다 사라질 동안 온 국민의 관심은 누가 프랑스 칸의 황금종려상이나 미국 아카데미상을 받느냐 마느냐에 쏠려 있죠. 대통령도 그런 거 받으면 축전을 보내고 아이돌과 함께 유엔에 나가고, 국민들은 그걸 보고 기뻐하는 시대에 살고 있어요. 그러는 동안에 한국 영화는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제일 큰 피해를 보고 있거든요. 정말 십수년 동안 좋은 영화사와 저희 동료들이 다 사라졌어요. 성실히 영화를 만드는 사람은 영화를 만들 수 있도록 해줘야 하는데 지금은 아무도 돌봐주지 않고 있어요. 이것은 굉장히 심각한 문제죠. (이은)

"하루 세끼 늘 밥을 차리는 사람들은그것을 좋아해서가 아니며,
재능이 있어서도 아니에요. 밥상 차리는 건누군가를 위해 자기 시간을 들여희생하면서 봉사하는 일이죠.
각 가정마다 사정이 다르겠지만,
남자들도 집안일을 나눠 하는 게중요하다고 봅니다."

자율수업날인 이날 학생 각자가 도서관에서 책을 읽거나, 대강당 한편에 있는 피아노를 치거나, 운동장에서 공을 차는 등등 자기가 하고픈 ‘공부’를 하는 것도신선했습니다. 그 정도는 사실 아무것도 아니었습니다. 진짜 놀란 것은 6학년 교실에서였습니다. 지면에 쓸 단체 사진을 찍기 위해서 교장 선생님이 교내 여기저기를직접 찾아다니면서 "괜찮은 사람은 운동장에서 잠시 같이 사진을 찍자"면서 협조를 구할 때였습니다. ‘제 눈에는’ 놀라운 광경이 있었습니다. 장판 바닥으로 된 교실에서 담요를 대충 걸치고 누워 자는 학생도 있었지만, 교장이 와도 누구도 그를깨우거나 방해하지 않았습니다. 교장도 마찬가지로 ‘쟤는 왜 자느냐‘고 묻지도 따지지도 않았습니다. 그 교실에서 나오면서 "자율수업도 수업인데 일어나라고 왜안 했어요?"라고 물었더니 "그 학생은 지금 휴식이 필요한지도 모르잖아요. 모든것을 자율적으로 하는 아이들이니까요"라는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아이들 표정이 정말로 밝게 빛나는 이유를 비로소 알 것 같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