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들야학은 제가 초·중·고등학교, 대학까지 다 합쳐서 12년간 배운 모든 것을 다 제로로 만드는 학교였어요. 여기에서는 누군가를 경쟁에서 이기는 것이 다 쓸모없어졌고, 국어,영어, 수학, 사회 다 필요 없고, 교육은 너무나 할 게 많은 거예요. 이 학생이 야학에 오게 만드는 것. 그러려면 (비장애인 중심의) 세상이 바뀌어야 되고요. 그래서 투쟁도 해야 하고요. 학생의 자신감이 많이 위축되어있는데, 그 자신감도 함께 끌어올려야 하고요.

왜냐하면 20년, 30년을 다 집 안에만 있었고 집에서도 자기 혼자니까 장애인은 장애인을 알 것 같지만 장애인도 장애인을 만나본적이 없어요. TV에 나오는 장애인은 다 불쌍하거나 아주 뛰어난 사람밖에 나오지 않는 상태에서 장애인은 그냥 이렇게 살다가 죽는구나 생각하고 살던 사람들이 여러 가지 우연이 겹쳐서 노들야학까지오는 거예요.
14일단 오면 자기 탓이 아니라는 걸 빠르게 공감해요. 우리는 권리가 있고 나가서 싸울 수 있다. 집에서도 주눅 들어 있던 사람들이밖에 나가서, 광장에 나가서 자기 몸을 펼쳐 보이고 세상을 향해서외치는 순간, 자신감이 아주 빠르게 회복이 돼요.

노들 생활을 말할 때 그가 술만큼 자주 언급하는 단어가 ‘저항‘
이다. "노들은 차별받는 사람들이 아니라 저항하는 사람들"임을 강조한다. 흔히 노들이 필요 없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할 때,그 노들은 차별받는 사람들이지만 우리는 그렇기만 한 게 아니라저항하는 사람들이라고.

"차별받는 사람과 저항하는 사람은 너무 다른데, 사람들이 당연한 인과관계로 생각해요. 차별받으면 누구나 저항하는 것처럼요.오히려 반대죠. 차별받으면 저항할 수 없게 돼요. 저는 노들을 그만두고 나서 알게 됐어요. 내가 노들에서 십몇 년간 한 모든 것이 차별을 저항으로 만드는 일이었구나. 차별과 저항이 얼마나 멀고 이어지기 어려운지 알았죠. 그게 얼마나 어렵냐면 내 청춘이 거기 다 들어간 거예요, 우리의 청춘이.

"화상 경험자 정인숙 님이 화상 입고 새 생활을 시작하면서 다시 태어난 것 같다고 말하거든요. 그분의 인생을 들어보면 정말로그래요. 처음 걸음마를 하고 처음 꽃을 만져보고 처음 친구를 만들고 이런 과정을 다시 밟는 것 같은, 눈부신 게 있거든요. 저는 불안이나 공포가 큰 편인데, 제가 인터뷰하는 사람들이 어쨌든 한번 인생의 큰 경험들을 하신 거잖아요. 시련들을 먼저 겪었고요. 회복하는 데 5년이 들고 20년이 들 수도 있어요. 그렇지만 살 수 있어, 그게 멋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나에게도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지. 그렇게 생각하면 저도 위로가 되는 것 같아요."

천성이 착해서가 아니라 질문했기 때문이다. 아버지를 사랑하지 않으면서 나는 왜 아빠를 신경 쓰지? 아빠가 이렇게 된 게 정말 아빠만의 책임일까? 우리는 희생이나 배제 없이 더불어 살아갈 수 있을까? 답을 구하기 위해 온갖 책을 팠고 차츰 아버지를 혈연 넘어 한사람의 사회적 신체적 약자로 보는 눈을 얻었다. 인생의 짐이 곧 힘이 되고, 가족관계가 시민관계로 확장되는 돌봄의 의미, 그 치열한사회적 탐색의 결과물이 한 권의 책이 됐다.

그는 얼마 전 서울대 의과대학 4학년들이 듣는 ‘의료 접근성과사람 중심성‘이라는 수업에 초대됐다. 차상위계층이 의료급여를 받는 과정에서 겪은 사례를 말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기회를 가졌다. "언제든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이고, 겪었지만 이야기되지 않는경험"이 곳곳에서 이야기되기 시작했다.

달려드는 저 태양은 피를 말리고/ 모래알처럼 흩어진 눈물의 기도들/ 우 위로해주는 사람 어디 있나/ 예 위로해주는 신은 어디있나/ 이곳에서 축복이란 오래 참는 마음이겠지 (・・・) 깊어가는아버지의 한숨/ 이뤄질 수 없는 것들의 삶이여(이승열, <너의 이름〉)

영화는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영화 <가버나움>의 감독 나딘 라바키는 말했다. 좋은 영화는 현실을 바꾸진 못해도 이야기를 시작할 수 있게 도와준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