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한 무관심 - 함께 살기 위한 개인주의 연습
한승혜 지음 / 사우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한 사람의 행위에 대한 상벌이 그가 속한 집단에게 공동으로 부여되는 것에 강한 의구심을 갖고 있다. 그것이 국가, 성별, 인종, 가족, 학교와 같은 ‘반강제적’ 집단일 경우에는 더더욱 그러하다. 이를테면 누군가가 저지른 잘못으로 그의 부모나 자식이 함께 비난을 들어야 마땅한가? 범죄자의 자식은 범죄자와 같은 취급을 받아야 하나? 재미동포가 저지른 범죄는 한국인 전체의 잘못인가? 아시아인이 저지른 과오는 아시아인 모두의 공동책임인가?

물론 누군가의 과오를 그가 속한 집단 전체의 잘못으로 확대하여 해석하는 것, 그에 대한 책임을 집단 전체에게 추궁하는 것은 매우 전통적이고 보편적인 현상이며, 과거부터 지금까지 빈번하게 반복되어 일어나는 일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언제나 표적을 필요로 하며, ‘집단’은 복잡하고 다단한 세상을 이해하기 쉽도록 압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것이 보편적이며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하여 옳으냐고 묻는다면 결단코 그렇지 않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 인류에게 일어났던 수많은 비극은 대개 어떤 혐오의 감정이나 개인의 잘못을 특정 집단에게 덧씌우려 해서 일어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얼마 전 누군가가 이런 말을 했다. 요즘 시대에 성별 갈등이 심해서 큰일이라고. 역시 페미니즘이 문제라고. 인터넷에 득실거리는 흥분한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의 해악을 좀 보라고. 글쎄, 그것이 과연 페미니즘 때문일까? 페미니즘만의 문제일까? 오히려 시대의 문제를 ‘페미니즘’ 때문이라고 너무 단순하게 결론을 내린 것은 아닐까? 어떠한 이념 안에서 극단적으로 변한 개인을 찾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어려운 일이 아니다. 비단 페미니즘뿐만이 아니라 지역, 인종 등 온갖 지표를 둘러싼 모든 갈등 안에 ‘광신적인’ 움직임이 있다. 이 세상 모든 남성에게는 원죄가 있다고 주장하는 극렬 페미니스트의 발언이 문제라면, 지금의 모든 갈등이 페미니즘 때문에 일어난다는 주장 역시 본질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다는 뜻이다.

인간은 본래 불안한 존재이며, 불안한 개인은 내면에서 솟아나는 에너지와 충동을 잊기 위해 몰두할 대상을 찾아 자주 헤맨다. 그리고 대상을 찾아낸 이후에는 불안과 번뇌를 잊기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의탁하거나 헌신적으로 돌변한다. 외적인 것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불안한 자아를 잊고자 하는 것이다. 그 대상이 예술이나 학업일 때는 긍정적인 결과물이 나오기도 하지만, 종교나 정치, 어떠한 이념이 되었을 때는 종종 큰 문제가 생겨나기도 한다. 과잉된 신념은 자기 자신을 잃어버리게 만들며, 스스로에 대한 혐오감과 증오는 자주 밖으로 뻗어나가기 때문이다. 결국 자아를 잃어버리고 집단에 의탁한 사람은 자신이 속한 집단에는 맹목적인 충성심을, 타 집단에는 격렬한 배척과 혐오감을 갖기 쉽다.

결국 집단과 무리에 기대려는 사람이 늘어날수록 사회 전체의 갈등과 분열은 심화될 수밖에 없다. 거꾸로 말하자면 우리 모두가 개인주의자가 된다면, 불안과 결핍을 잊고자 무언가에 의탁하려는 충동에서 벗어나 한 명의 개인으로서 우뚝 선다면, 사회의 많은 부분이 좀 더 개선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물론 세상은 복잡하고, 어떻게 하더라도 완벽한 사람은 없으며, 우리가 사는 이곳을 무결한 공간으로 만드는 것 또한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우리 모두가 개인주의자가 되고자 지금보다 애쓴다면, 그러한 세상에 조금 더 근접해질 ‘가능성’은 있을 것이다.

. 서로에게 일정한 거리를 지키며, 간섭과 참견을 하지 않는, 나와 다른 타인의 개성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적당한 무관심의 사회. 그러면서도 곤경에 처한 사람을 그냥 보아 넘기지 않는, 약자와 소수자에게 적극적으로 손을 내미는 것을 잊지 않는, 서로에게 다정한 사회.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것은 아마도 이와 같은 ‘다정한 무관심’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