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사람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너무 사랑하는 나머지 그것이 자신의 비극일지라도, 그 이야기 때문에 본인이 불행할지라도 계속 이야기한다. 혹은 그 이야기를 멈추는 방법을 모른다. (중략) 한편으로는 두려움 때문일 수도 있다. 다시 태어나기 위해 어느 부분은 죽어야 하므로, 다시 태어나는 것보다 죽음이 먼저 오기 때문에, 어떤 이야기의 죽음은 스스로 익숙한 자기 모습의 죽음이기 때문에.
그래서 ‘망치‘ 가 필요하다. 망치의 핵심적 기능이 쳐서 깨는 것이므로, 니체의 "철학은 망치로 하는 것이다" 와 신영복의 "공부는 망치로 하는 것이다" 를 이런 맥락에서 해석하면이해가 쉽다.
삶에서 변화를 만들어 내는 것은 언제나 기다림이 아니라,
내 쪽에서 먼저 내딛는 한 걸음이며, 그 한 걸음을 내디디려면 바로 전까지 자신이 익숙해 있던 삶의 방식과 사고의 틀을깨야 한다. 이때 망치는 자신을 깨서 바꾸기 위한 수단이자 용기 이다.

도스토예프스키의 "내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오직 한 가지, 내 고통이가치를 상실하게 되는 것뿐이다." 라는 말과 정확히 맞닿아있다.
여기서 한 가지 생각해야 할 것이 있다. 삶과 관련한 질문은 누가 하느냐로, 당연히 사람이 한다고 생각하겠지만, 빅터프랭클의 생각은 달랐다. 질문하는 것은 우리가 아니라 삶이며, 우리는 질문을 받는 자이기 때문에 "삶이 시시각각 던져오는 물음에, 즉 ‘삶의 물음‘ 에 답을 내놓아야 하는 것은 바로 우리" 라는 것이다.
그는 "산다는 것은 바로 질문을 받는 것" 이며, "삶에 책임지고 답변하는 것" 이 삶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삶의 과정에서 "행동을 통해 답변하는 것, 구체적인 삶의 물음들에 행동함으로써 또는 창조하는 작품으로써 답"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때 자신의 구체적인 삶이 던지는 질문에는 ‘거기‘ 에서 살아가는 각자의 몫일 뿐 그 누구도 대신할 수 없다는 사실도함께 강조했다.

산다는 것 자체는 질문 받는 것이며 대답하는 것이다, 그때마다 자기 고유의 현존을 책임지고 답변하는 것이다, 그렇게 삶은 이제 주어진것이 아니라 부과된 것으로 나타난다. 삶은 매 순간의 과제이다. ..... 헵벱의 말로 표현 하면 삶은 어떤 것이 아니라 어떤 것에 대한 기회이다.

홍세화의 《결:거에 대하여》에는 "자유를 빼앗기는 것도위험한 일이지만, 자유 개념을 빼앗기는 것은 더 위험한 일"
이라는 대목이 나온다. 이는 저자의 생각이 아니라 저자가 읽은 책에서 인용한 글로, 지금까지 말과 개념의 의미를 함께성찰한 독자들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지 궁금해진다.
‘자유를 빼앗기는 것‘과 ‘자유 개념을 빼앗기는 것‘ 의 개차이가 바로 이해되는가? 자유를 빼앗기는 것보다 자유
‘개념‘ 을 빼앗기는 것이 훨씬 더 치명적인 아픔으로 느낄 수있는 우리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릇을 빼앗기면 다른 그릇으로 대신할 수 있지만, 내용물을 빼앗기면 빈 그릇을 손에 쥔들 어디에도 쓸 데가 없다.

내가 만난 훌륭한 일의 명인(名人)들은 공통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마음(Heart)이었습니다. 그들은 훌륭한 손(Hand)의 소유자라기보다는 훌륭한 마음의 소유자라는 사실입니다. 그분들은 자기의 옆에 무엇이든 비뚤어져 있거나 덜 된 일이 있으면 우선 마음이 불편해합니다. 이 불편해하는 마음은 대상을대상화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와의 관계망 속으로 받아들이는자세입니다. 바로 그런 점에서 존재론적인 문화를 극복하는관계론적 철학은 바로 따뜻한 가슴을 바탕으로 하지 않을 수없는 것입니다.
- 신영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