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행복의 핵심이 마음가짐에 달려 있다고 보는 유심론적 태도를 경계한다. 행복의 핵심은 ‘좋은 경험‘에 있다. 그 시간에 온전히 몰두할 수 있고, 기쁨과 같은 좋은 감정을 안겨줄 수 있는 경험말이다. 우리가 행복하려면 좋은 경험을 찾아내고 이를 늘려가는게 중요하다. 행복은 기본적으로 기쁘고, 기다려지고, 하고 싶은것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좋은 경험이란 놀이와 유사하다. 아이들이 어른보다 행복한 건 잘 놀기 때문이다. 우리는 나이가 들더라도자신만의 놀이를 즐기고 발달시켜야 한다. 그것이 진정한 휴식이다. 잘 놀아야만 활기가 생기고 재충전이 이루어진다. 우리는 잘 놀때 행복할 수 있다.

그에 비해 오티움은 ‘무위無爲의 시간‘이다. 여기에서 무위란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억지로 무언가를 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며 더 나아가 하고 싶은 것을 하는 걸 말한다.

낮은 단계의 무위는 억지로 무언가를 안 하는 것이지만 높은 단계의 무위는 자연스럽게 하고 싶은 걸 하는 것을 말한다. 하고 싶은 것을하는 건 에너지를 소모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채우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그러한 시간이 필요하다. 억지로 애를 쓰지 않는 것, 누군가의 눈치를 보지 않는 것을 넘어 내가 좋아하는 것을 즐기는 시간이 필요하다.
그 활동은 우리를 짓누르는 책임이나 의무도 아니고, 늘 따라다니는 보상이나 결과에서 벗어난 시간이다. 현대인의 여가에서 중요한 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하고 싶은 걸 하는 것에있다. 자, 이제 오티움을 정의해보자. 오티움은 ‘내 영혼에 기쁨을주는 능동적 여가 활동‘을 말한다.

1994년 이후 스탠퍼드대학의 심리학자 로라 카스텐센Laura L.Castenscen과 동료들은 수백 명의 노던 캘리포니아 거주민들의 정서상태를 평가했다. 그 결과 나이든 사람들은 젊은 사람들에 비해 감정을 효과적으로 조절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나이든 이들은당면한 사건을 담담하게 받아들이고, 흥분을 해도 재빨리 균형의상태로 돌아왔다. 카스텐센은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당신은 남아 있는 시간이 적어질 때, 즉 인생의 끝에 점점 더 가까워질때 감정적으로 의미 있는 목표에 초점을 두려고 한다. 반면 남아있는 시간이 많을 때는 지식 획득에 초점을 둔다." 즉, 사람들은 나이가 들면서 가장 중요한 것에 초점을 두려는 성향이 강해진다. 나이든 사람들은 인생의 덧없음을 느끼지만 그 자체가 삶에 대한 태도를 전환하도록 돕는다. 질병, 상실, 죽음, 수입과 역할의 감소 등부정적인 현실 앞에서 마냥 우울하고 절망하는 게 아니라 지금 이순간에 집중하고 남은 시간을 더욱 깊이 있게 살아가려고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