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를 격려하기에 앞서, 그 사람이 과연 자기 안에사랑을 지니고 있는지, 그가 자기가 하는 일에 그 일이 무엇이든간에 흥미를 지닐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해요. 왜냐하면 어떤 일에몰두한다는 것은 자기 안에 관심을 지니는 일이니까요. 여기서사람들은 근본적으로 나뉘어요. 한쪽은 행동할 수 있는 비범한 여력이있는 사람들, 다른 한쪽은 제가 잠꾸러기‘라 부르는 사람들, 잠자는사람들은 굳이 흔들어 깨우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들을깨워봐야 아무런 이득도 없으니까요. 그들은 아주 착하고, 행복하고,그 상태로 아주 좋아요. 인간적으로 볼 때 그들은 지금 그 상태로충분히 정당화되거든요.
주의라는 것을 남에게 가르칠 수 있는지, 그건 모르겠어요.
하지만 저는 이렇게 말합니다.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행동하는 사람은누구나 자기 삶을 잃는 셈이다"라고요. 나아가서 부주의 때문에그의 삶은 무화無化된다고 까지 저는 말하죠. 유리창을 닦는 사람이건,명작을 쓰려고 노력하는 사람이건 마찬가지예요. 우리는 항상베르그송Henri Bergson이 쓴 이 놀라운 구절로 돌아옵니다. "인간은자연의 혼돈 앞에 자리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는 그 혼돈을 정연하게조직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어서 어떻게 이런 조건 속에서 인간이자신의 예상보다 훨씬 더 많은 생각, 많은 이해를 할 수 있는 자신의능력에 스스로 깜짝 놀라는지, 그것을 베르그송은 펼쳐 보입니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햄릿〉에 나오는 한 구절을 저는 살면서 하루도빠지지 않고 생각합니다. "생각 없는 말言은 결코 하늘로 가지 못한다."
제가 당신에게 안녕하세요"라고 아무 생각 없이 말하면, 저는 존재하는게 아닙니다.
우리가 로마에 있었을 때 제 여동생 릴리는 열아홉 살, 그 애가 로마작곡대상을 받은 직후였어요. 더없이 우아하고 순수한 모습이던 동생과빌라 메디치의 공원을 산책했습니다. 공원을 걷는 우리는 청춘이영원히 지속될 거라고 젊은이다운 환상을 갖고 있었어요. 그 공원에서늘 잡초를 뽑던 할머니 한 분이 있었는데, 피부는 주글주글했지만이목구비는 너무도 아름다웠어요. 그때가 1913년이었는데, 이 일은지금까지도 제 삶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줍니다. 우리가 옆으로지나갈 때 할머니가 고개를 들더니, 지울 수 없을 만큼 인상적인미소를 지으며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좋은 하루, 그리고 하루 종일좋은 날Buon giorno, e per tutto il giorno." 이 말을 하면서 할머니는 우리를보고 미소 지었어요. 그 미소가 이미 선물이었어요. 우리는 그 말을듣고 할머니께 고맙다고 했던 것 같습니다. 그 뒤로 65년이 흘렀고,
동생은 1918년에 세상을 떠났어요. 하지만 지금도 이 말이 귓가에들리면 저는 혼잣말을 합니다. "잊지 말자. 너의 하루하루가 축복받은날이라는 걸. 네가 그 날을 잘 활용하건 못 하건, 하루하루는 축복받은 날이야"

제 생각에, ‘주의‘란 우리로 하여금 있어야‘ 하는 것을 인식하게하는 상태입니다. 위대한 신비주의 명상가들이 보는 것이 바로이것이죠. 그들 신비주의자들 입장에서도 진정 주의를 기울이게되는 날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제게 종종 떠오르는 인물은 아빌라의성녀 테레사예요. 위대한 정신의 소유자인 그 대단한 성녀 테레사의경우에도 본인이 메마른 기도의 날‘이라고 이름 붙인 날들이 있다고해요. 그런 날이면 테레사 성녀는 기도하고 또 기도했습니다.
안 그래도 그분이 기도를 멈춘 적은 없었지요. 그러나 아무것도 없지요!
그러고 나면 문득, 소리가 들리는 날이 옵니다. 예술에서는 이런것을 ‘영감‘이라 부르지요. 그건 한 사람이 자신의 생각, 진짜 생각을밑바닥까지 포착해낼 수 있는 순간이며, 우리가 진실과 닿는 순간이고, 일치가 이루어지는 순간입니다.

또 다른 차원에선, 최근에 로스트로포비치Mstislav Rostropovich가 오페라〈토스카Tosca)를 연습하는 자리에 함께했던 기억이 납니다. 제 말이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지만, 사실 〈토스카>를 안 들어도 우린아무 탈 없이 잘 살지요. (토스카>가 걸작이라는 것은 인정하지만,
어쨌든 그 곡 없어도 사는 데 지장은 없잖아요. 그런데 그 연습 장면을지켜본 기억이 제 뇌리에 남아 앞으로 결코 지워지지 않을 것임을알겠더군요.
연습이 끝나자 로스트로포비치가 다가오더니 서툰 불어로 이렇게말했어요. "저는 뭐든 했다 하면, 할 수 있는 한 잘해야 합니다."
음 하나하나가 그에겐 본질이에요. 어떤 음 하나 심드렁하게 나는것을 그는 견디지 못해요. 첫 연습 결과에 만족한 사람이 많았어도그는 곡의 일정 부분을 아주 여러 번 되풀이하게 했지요. 그런데 너무나 기분좋게 반복시키고 또 전혀 안달복달하지 않는 태도로 연습을 시키니까 단원들도 기꺼이 반복 연주하면서 아주 기분이 좋아보였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